![[출처= 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9/1678997_696028_3855.jpg)
■면세점 임대료 갈등…신라·신세계 철수 시 인천공항 면세 사업자 변경 불가피
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 갈등이 심화되면서 신라·신세계가 철수를 선택할 경우 위약금은 감당할 수 있어도 사실상 재입점은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두 면세점은 2023년 입찰 당시 고가 투찰로 사업권을 확보했지만 적자 누적을 이유로 임대료 감액을 요구하다 거절당했다. 공사는 이를 ‘경영책임 회피’로 규정해 동일 기업의 재입점을 허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업계는 인천공항 면세점 입지가 여전히 매력적이라 철수 시 재입찰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보며, 임대료 수준도 현행보다 최대 40%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석유화학 구조개편 아직 '탁상공론'...고용·지역경제 위축 걸림돌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정부의 구조조정 압박 속에 기초 석유화학 생산(에틸렌 기준) 최대 25% 감축을 논의 중이지만, 고용·지역경제 우려와 기업 간 이해관계 충돌로 실행은 지지부진하다. LG화학·롯데케미칼·HD현대케미칼·대한유화 등이 설비 통합·매각 등을 검토하고 있으나 구체적 진전은 없고, 노조 반발과 ‘노란봉투법’ 시행 등 인력 구조조정 제약도 걸림돌이다. 정부는 연내 기업 자율 협약안을 토대로 세제·금융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업계는 실질적 지원책 부재로 구조조정 성공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케데헌 열풍에 유통·식품街 ‘함박웃음’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흥행이 한국 유통·식품업계에 특수를 안기고 있다. 작품 속 김밥·라면 등이 밈으로 확산되며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서 편의점 김밥이 필수 구매 아이템으로 떠올랐고, CU·GS25·세븐일레븐은 관련 매출이 급증했다. 농심은 케데헌 협업 신라면을 출시해 완판 기록과 함께 주가도 급등했으며, 미국·유럽 등 해외 유통망으로 협업 제품을 확대 중이다. 파리바게뜨도 케데헌 한정판 케이크·선물세트와 전용 쇼핑백을 선보이며 흥행에 동참했다. 업계는 콘텐츠·리테일 결합이 브랜드 가치 확대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증시 호황 속 그림자…엇갈린 증권사 신용등급
사상 최대 증시 호황 속에서도 증권사 신용등급 전망은 극명히 갈리고 있다. NH·삼성·KB·한국투자 등 대형사들은 발행어음·IMA 제도 등 우호적 환경을 발판 삼아 신용등급 상향 기대가 커지는 반면,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형사들은 부동산PF 의존과 규제 강화로 하락 압력에 직면했다. NICE신용평가는 단순 실적보다 자본 완충력·리스크 관리 능력을 종합 평가하겠다고 밝혔으며, 업계는 이번 호황이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격차를 더욱 벌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中 교류 재개 시동…화장품주, 공매도 과열 종목 오명 씻어내나
중국과의 교류 재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최근까지 국내 화장품주를 짓눌렀던 공매도 과열 현상도 한풀 꺾이고 있다. 정부의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과 중국 내 외국 콘텐츠 규제 완화 조치가 맞물린 가운데 사실상 ‘한한령’ 해제 전망이 부각되면서, 이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고 K뷰티 산업 전반이 새로운 활력을 얻고 되살아나는 분위기다.
■제4인뱅 예비인가 전부 탈락…"대주주 불투명·자본력 미흡"
금융위원회가 소소뱅크·소호은행·포도뱅크·AMZ뱅크 등 4곳의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모두 불허했다. 외부평가위원회는 자본력과 대주주 투명성, 영업 지속 가능성 등이 미흡하다고 판단했으며, 특히 자본금 확보 능력에서 낮은 점수를 줬다. 이로써 제4 인터넷은행 도입 논의는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소호은행 컨소시엄은 미비점을 보완해 재도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 [EBN 오늘(16일) 이슈 종합] 美, 일본 車관세 15% 인하 적용, 정부 '산재와의 전쟁' 선포에 건설업 '비명' 등
- [EBN 오늘(15일) 이슈 종합] 대한항공, 소비자 후생 '뒷전'…HBM4 '운명의 4분기' 등
- [EBN 오늘(13일) 이슈 종합]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 '아이폰 에어' 中 출시 연기 등
- [EBN 오늘(18일) 이슈 종합] 롯데카드 대표 "고객정보 유출 사과", 삼성 5년간 6만명 채 등
- [EBN 오늘(19일) 이슈 종합] 통신·금융산업 전방위 보안 위협, "해킹 기술 속도 금융권이 못따라가" 등
- "부동산PF 리스크 완화됐지만 경계심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