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LG전자]
[출처=LG전자]

LG전자는 모듈러 주택 ‘LG 스마트코티지(LG Smart Cottage)’ 신모델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기존 대비 절반 수준 가격을 내세워 '5도2촌'이나 '워케이션(Workation)'을 원하는 소비자까지 고객층을 넓히는 전략이다.

이번 신모델은 △8평(27㎡) 개방형 단층 ‘MONO Core 27’ △16평(54㎡) 분리형 단층 ‘MONO Core 54’ 등 두 가지다. 이로써 LG 스마트코티지 라인업은 단층·2층 포함 8평·14평·16평형까지 총 6종으로 확대됐다. 내달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16평형 모델 체험과 구매 상담도 진행된다.

가장 큰 차별점은 경제성이다. 8평 모델 가격은 1억 원으로, 기존 Mono Plus 26 모델(2억 원) 대비 절반에 불과하다. LG전자는 채광을 위한 고층 지붕 대신 평지붕으로 단순화하고, 기본 모듈을 통일해 블록처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했다. 8평형은 모듈 3개·16평형은 모듈 6개를 조립하는 방식이다. 이로써 건축비 절감은 물론 고객 맞춤형 2층형 확장도 가능하다.

내부는 필수 가전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에어컨·냉장고·세탁기·인덕션 등 AI 가전 4종 △보일러 △스마트 스위치·도어락 등 IoT 기기 4종이 기본 탑재된다. 설치된 기기들은 LG 씽큐(ThinQ) 앱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코티지는 프리패브(Pre-fab) 방식으로 제작돼 공기 단축 효과가 크다. 구조체와 창호, 배선, 욕실·주방 기기 등 자재의 70% 이상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뒤 현장에 배송해 설치한다. 이를 통해 기존 철근콘크리트 공법보다 공사 기간을 최대 50% 단축할 수 있다.

실제 전북 김제에 설치된 Mono Plus 26 모델은 에너지 자립률 120% 이상을 달성하며, 국내 프리패브 주택 가운데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최고 등급인 ‘ZEB 플러스(Plus)’ 인증을 받았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신재생에너지 활용 건축물에 부여하는 제도다.

모듈러 건축 시장은 성장세가 뚜렷하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시장 규모는 2030년 최대 4조4000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도 마찬가지로,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2029년까지 연평균 6.2% 성장해 1408억 달러(약 194조 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향은 LG전자 HS CX담당은 "다양한 라인업으로 더 많은 고객이 집처럼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세컨드 하우스 문화를 확산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