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준 의장 [출처=연합 ]](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1366_698771_830.jpg)
미국 연방정부가 1일(현지시간) 여야의 예산안 갈등 속에 7년 만에 셧다운(폐쇄)에 들어가면서, 이달 말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의회 예산에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기관이지만, 셧다운 장기화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줄줄이 지연되면서 통화정책 판단에 필요한 ‘데이터 공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오는 10월 28일과 29일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한다. 다만 노동부가 3일 예정했던 9월 고용보고서를 발표하지 못하게 되면서 연준은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를 잃게 됐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2·9·16일), 무역수지(7일), 소비자물가지수(CPI, 15일), 소매판매(16일), 생산자물가지수(PPI, 16일) 등도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28~29일 열리는 10월 FOMC를 불과 4주 앞두고 발생한 ‘최악의 시기 공백’으로 평가된다.
미국 연방정부 소속 직원의 약 40%에 해당하는 90만명이 무급휴직 처리될 전망이다. 새 예산안이 발효될때까지 필수 업무를 제외한 모든 정부의 재량적 기능이 중단된다.
10월 FOMC는 금리 인하 전환의 출발점이 될지, 아니면 데이터 부재 속 신중론이 힘을 얻을지 갈림길에 섰다.
외신에 따르면 EY-판테온의 리디아 부수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적시에 노동시장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민감한 시기에 의사결정이 더욱 복잡해진다”며 “데이터 의존적(data dependent)인 연준이 제 역할을 다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포워드본즈의 크리스 럽키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중요한 정부 데이터가 없다면 연준과 투자자 모두 경제를 평가하려고 말 그대로 ‘눈가림 비행’을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때문에 연준은 민간 지표 의존도를 높일 수밖에 없다. 급여처리업체 ADP가 발표하는 민간 고용보고서 등 비공식 통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민간 데이터는 표본 구성이나 측정 방식에서 정부 통계만큼 포괄적이지 않아 정책 판단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
시장에서는 오히려 이러한 불확실성이 연준을 금리 인하 쪽으로 밀어붙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미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선물시장은 10월 금리 인하 확률을 99%, 12월 추가 인하 확률을 100%로 반영하고 있다. 에버코어 ISI는 “셧다운으로 인한 데이터 지연은 연준이 경기 둔화 리스크에 더 무게를 두도록 만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셧다운의 경제적 피해도 변수다.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하루 지속 시 75만 명의 근로자가 일시 해고되고 비용은 4억 달러에 달한다. ADP 집계로는 이미 9월 민간 고용이 3만2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고용시장 충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