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미국의 수입품에 부과된 ‘트럼프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통조림에서부터 자동차 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입제품의 가격이 오르면서,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기업들이 그간 쌓아두었던 재고를 소진하고 난 뒤, 관세에 따른 원가 상승분을 본격적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며 “수입재를 중심으로 미국 내 물가 인상 압력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오디오 기기 가격은 14%, 의류는 8%, 공구·하드웨어·부품은 5% 각각 상승했다. 해당 품목들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인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전국소매협회(NRF)의 마크 매슈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2년간 재화 인플레이션은 사실상 ‘제로’에 가까웠다”며 “이제 서서히 재화 가격 상승이 시작되는 초기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월스트리트의 시장조사기관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은 올해 4월 이후 주요 유통업체들이 의류·신발 등 소프트 라인 제품 29종 중 11종, 자전거·식기세척기 등 하드 라인 18종 중 12종, 스포츠용품 16종 중 5종에 대해 가격을 인상했다고 밝혔다.

FT는 가구업계 소식지를 인용해 세계 최대 가구 제조업체인 ‘애슐리 퍼니처’가 이달 5일부터 전체 제품군의 절반 이상에 대해 3.5~12%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말 발표한 25% 가구 관세 적용에 따른 조치다.

자동차 부품 소매업체 오토존도 관세 인상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미국이 세계 최대 커피 수출국인 브라질에 50%의 수입관세를 부과하면서 커피 가격도 오름세다.

그동안 관세 부담은 주로 수입업자와 소매업체가 떠안았지만, 최근에는 소비자에게 점차 전가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지난달 “지금까지는 기업들이 관세 부담 대부분을 흡수해왔다”고 밝혔다.

씨티그룹의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 네이선 시츠는 최근 고객들과의 통화에서 “지금까지 관세 부담 중 소비자 부담 비율은 30~40%였지만, 앞으로 몇 달 안에 60%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소비자물가를 자극하면서, 미국 내 인플레이션 대응과 소비심리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