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헬스테크 기업 ASKEN 홈페이지 [출처=연합]
일본 헬스테크 기업 ASKEN 홈페이지 [출처=연합]

일본이 급속한 고령화와 돌봄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에이지 테크(Age-tech)'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어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6일 초고령사회 일본의 에이지 테크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은 최근 간병·돌봄 수요가 급증, 인력 부족이 사회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에이지 테크 보급과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다.

에이지 테크는 고령자와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령 친화 기술이다. 단순 간병을 넘어 쇼핑·금융·상속·커뮤니티 활성화 등 고령층을 위한 전방위 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홈과 주거 지원 서비스, 영양 관리, 운동 및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가 주목받는다. 일본 헬스테크 기업 아스켄(ASKEN)은 AI 기반 식사 기록 앱과 온라인 상담을 통해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며, 60대 이상 이용자가 4년 만에 3.4배 증가했다. 이승 보조 로봇, 이동 보조 웨어러블 로봇, 배설 보조 로봇 등도 개발돼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핀테크 분야에서도 직관적 앱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고령자 친화형 금융 서비스가 등장했다. 일본 미즈호은행은 이 같은 추세 속에 일본 실버산업 규모가 올해 101조3000억엔으로 사상 처음 100조엔을 돌파, 2007년 대비 6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정부 역시 지난해 고령사회 대책 예산을 24조3000억엔으로 전년보다 3% 증액하며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도 고령화 속도가 빨라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뒤 지난해 초고령 사회로 넘어섰다. 한국은행은 돌봄 인력 부족 규모가 2022년 19만명에서 2032년 38만~71만명, 2042년에는 61만~155만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른 가족 간병 수요 증가로 2042년에는 GDP의 2.1~3.6% 규모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버산업은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 실버산업 규모가 2020년 72조원에서 2030년 168조원으로 2.3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고령화는 일본·한국을 넘어 전 세계적 현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에이지 테크가 글로벌 신산업 동력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은 요양원과 돌봄 로봇을 직접 연결하는 실증 플랫폼을 운영하는 등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있어, 한국도 이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한국 내 ‘협업 이음터’, ‘민관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지원사업’ 등 제도를 활용해 에이지 테크 기업들이 실증 실험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