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불황 장기화와 고물가 여파로 주류시장의 소비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한때 대세로 떠올랐던 와인 인기가 한풀 꺾이고, 가격 부담이 적은 국산맥주와 소주가 다시 주류 시장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7일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에 따르면 올해 1~9월 주류 매출에서 국산맥주가 24.0~27.6%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이마트의 주류 매출 비중은 국산맥주(24%), 와인(22%), 양주(19%), 소주(17%), 수입맥주(12%), 전통주(5%), 무알코올 맥주(1%) 순이었다.

판매 수량 기준으로는 소주가 가장 많이 팔렸다. 이어 수입맥주 또는 국산맥주, 전통주, 와인, 논알코올맥주, 양주 순이었다.

국산맥주는 코로나19 이전까지만 해도 주류 시장의 주력 품목이었다.

그러나 팬데믹 시기 ‘홈술·혼술’ 트렌드와 함께 와인 열풍이 불면서 한때 1위 자리를 내줬다.

이마트와 롯데마트에서 2022년과 2023년에는 와인이 주류 매출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다시 합리적인 가격대의 국산 주류로 눈을 돌리면서, 지난해부터 국산맥주가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즐겁게 건강을 챙기는 소비)’ 문화가 확산하면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화이트와인·스파클링 와인이나 논알코올맥주 수요가 늘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2022년 와인 매출 중 레드와인 비중이 68%, 화이트·스파클링이 32%였으나 올해(1~9월)에는 레드 62%, 화이트·스파클링 38%로 후자의 비중이 상승했다.

또한 이마트와 롯데마트에서 논알코올맥주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소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