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출처=EBN]

경영난을 겪는 한계기업에 대한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출 규모가 4조원에 육박하면서,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수은의 한계기업 여신은 총 3조9026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계기업은 경영난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낮아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기업을 가르킨다.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한계기업은 141곳으로 이중 대기업은 15곳, 중견기업 73곳, 중소기업 53곳이다.

대기업이 2조445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이 1조2853억원, 중소기업이 1718억원 등의 순이었다.

올해 8월 말 기준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기업 중 87곳이 구조조정 중이며 자율협약 2곳, 워크아웃 6곳, 회생절차 23곳, 파산 6곳 등으로 집계됐다.

수출입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213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89% 수준이다.

연도별 부실 발생 금액은 2021년 1조190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2776억원, 2023년 6668억원, 2024년 2223억원 등으로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였고 올해 들어 8월 말까지는 114억원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연체 잔액은 2021년 말 1조759억원에서 2022년 말 6846억원, 2023년 말 3365억원 등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다 2024년 말 3592억원으로 반등했고 올해 8월 말 잔액은 4659억원이었다.

연체율은 2021년 말 1.39%, 2022년 말 0.79%, 2023년 말과 2024년 말 각 0.40%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올해 8월 말 0.53%로 올랐다.

박성훈 의원은 "과도한 한계기업 여신과 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의 신호"라며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