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부스에 전시된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 시제기와 소형 협동 무인기(KUS-FX) 목업의 모습.[사진=김태준 기자]
대한항공 부스에 전시된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 시제기와 소형 협동 무인기(KUS-FX) 목업의 모습.[사진=김태준 기자]

 

대한항공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핵심 전력인 무인기 3종을 최초 공개했다.

대한항공은 20일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저피탐 무인기와 중형 타격 무인기·소형 협동 무인기 등 무인기 3종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시제기 제작을 마치고 시험 비행을 앞둔 단계다. 저피탐 무인편대기는 유인 전투기와 무인기 다수가 편대를 이루는 형태로 운용된다. 미래 전력으로 각광받는 유무인 복합 체계의 핵심 기체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 방산 강국이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한항공이 국내 최초로 저피탐 기능이 설계된 대형 제트 엔진 무인기의 유무인 복합 체계를 구축할 경우 우리나라 방위 산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국방과학연구소와 공동 개발하는 타격 무인기도 시제기를 제작해 공개했다. 앞서 개발을 마치고 양산 중인 소형 타격 무인기에 이어 이번에는 중형 타격 무인기를 선보인 것. 대한항공은 내년까지 중형 타격 무인기 연구개발을 마무리하고 후속 체계개발 사업을 준비할 계획이다. 위험 지역에 가장 먼저 투입돼 주요 임무를 수행하는 소형 협동 무인기 목업도 공개됐다.

대한항공이 50년 넘게 축적해 온 군용기 MROU(정비·개조·업그레이드) 역량도 홍보한다. 전자전기, 항공통제기, UH-60 헬기 등 대한항공이 수행할 핵심 사업을 바탕으로 군용기 성능 업그레이드의 로드맵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대한항공은 무인기 플랫폼 개발·운용 경험이 풍부한 체계개발 선도 기업으로서 면모를 국내외 방산업계에 알린다. 중고도무인기(MUAV)로 불리는 전략급 무인기 KUS-FS와 사단 정찰용 무인기 KUS-FT, 수직이착륙형 무인기 KUS-VS, 소·중형 협동 무인기 KUS-FX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인다. 대한항공은 전장 환경과 임무 요구에 맞는 풀 스펙트럼(Full Spectrum)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무인기 플랫폼에 인공지능(AI) 기반 임무자율화 기술을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개발에 성공하면 무인기가 스스로 판단하고 임무를 수행하게 되며, 단순 원격 조종을 넘어 무인기 운용체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대한항공은 미국 안두릴(Anduril) 등 AI 기술 선도 기업들과 활발히 교류 중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무인기 분야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갖춘 기업이자 무인기 시대를 이끄는 방산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국산 기술로 만든 무인기들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는 모습을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