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LG전자]
[출처=LG전자]

LG전자는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1일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 'BBB(Stable·안정적)'에서 'BBB(Positive·긍정적)'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S&P가 LG전자 전망을 상향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이다. 이번 조정은 △가전 및 전장(전기차 부품) 사업의 안정적 성장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조달 △관계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 기대감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다.

앞서 지난 2월에는 또 다른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안정적(Stable)’에서 ‘Baa2,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한 바 있어,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의 잇단 긍정적 시그널이 이어지고 있다.

S&P는 이번 상향 조정의 의미에 대해 "LG전자가 현재의 사업 구조와 재무 상태를 유지할 경우 향후 1~2년간 주요 재무지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신용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안정적(Stable)’ 전망이 현 수준 유지를 의미한다면, ‘긍정적(Positive)’ 전망은 등급 상향 가능성을 예고한 셈이다.

S&P는 "LG전자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 어려운 외부 환경 속에서도 주력 사업의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며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현금 유입과, 지분 36.72%를 보유한 LG디스플레이의 턴어라운드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LG전자의 가전 부문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성과 브랜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주요 시장에서 견고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냉난방공조 사업은 데이터센터용 냉각 솔루션과 고효율 시스템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전장사업(VS사업본부)은 100조 원 규모의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전동화 부품 등 고수익 제품 비중이 확대되며 수주 믹스가 개선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관계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회복도 LG전자 신용등급 전망 개선의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했다.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의 경영성과를 지분법 손익으로 반영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실적 반등은 곧바로 재무구조 개선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또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통해 확보한 약 1조8000억 원 규모의 현금은 부채 감소와 재무건전성 제고에 기여할 전망이다. S&P는 "이 같은 현금 유입은 향후 재무적 완충력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