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SK에코플랜트]](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322_700994_515.png)
시흥 교량 붕괴 사고로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SK에코플랜트가 금융위원회로부터 회계처리 위반에 따른 62억원의 과징금까지 부과받으며 재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미 상반기 기준 총차입금이 7조원에 이르는 가운데 이 중 단기성 차입금이 2조원에 달하고, 보유 현금은 1조2000억원 수준에 그쳐 유동성 압박이 커진 상태다. 여기에 영업정지로 신규 수주가 막히고 이자비용까지 불어나면서 중장기 자금조달 여건이 한층 더 악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4월 발생한 경기 시흥시 월곶고가교 붕괴 사고의 시공사로, 국토교통부로부터 시공 책임을 물어 6개월간의 영업정지 처분을 통보받았다. 영업정지는 오는 12월 1일부터 내년 5월 말까지 적용되며, 이 기간 동안 공공공사 입찰 참여가 제한돼 신규 수주 활동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영업정지 금액은 3조2874억원으로,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의 35.3%에 달한다.
SK에코플랜트는 처분에 불복해 행정소송과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준비 중이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시공 품질에 중대한 결함이 없었던 점이 확인됐다"며 "법적 절차를 통해 안전관리 의무 이행을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영업정지와 별개로 SK에코플랜트는 금융위원회로부터 회계처리 기준 위반을 이유로 62억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일부 프로젝트의 수익 인식 과정에서 회계기준에 맞지 않는 처리 방식이 드러난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우려되는 건 재무 리스크다. 국토부가 정한 영업정지 개시일은 12월 1일로, 내년 5월 말까지 약 6개월간 공공공사 입찰이 중단된다. 이 기간 SK에코플랜트는 약 5700억원 규모의 만기 회사채 및 기업어음(CP)을 포함해 2조원에 이르는 단기 차입금을 상환해야 한다. 올해 상반기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1조2000억원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단기 상환 여력은 빠듯하다. 영업정지로 신규 수주가 막히고 현금 유입이 줄어들면 상환 여력은 더욱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차환 여건이 악화될 경우, 가용 현금 대부분이 상환 재원으로 소진돼 운영자금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SK에코플랜트의 재무 구조는 이미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다. 금융감독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총차입금은 6조8239억원으로, 이 중 상당수가 1년 내 만기도래하는 단기성 부채다. 총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은 2000억원에 달해 10대 건설사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2096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벌어들인 영업이익 대부분이 이자 상환에 쓰이고 있다는 평가다.
그나마 회사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자산 매각과 관계사 지분 정리를 병행하고 있다. 환경사업 매각 약 1조원과 종속회사 SK에어플러스의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 1조3000억원, 블룸에너지 지분 매각 약 4000억원 등으로 3조원 이상이 순차적으로 유입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단기 차입금 상환과 운전자금 확보에는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실질적인 영업이익 창출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재무 개선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 많다. 영업정지로 수주 공백이 길어질 경우, 단기 유동성 확보 효과도 금세 희석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신용평가업계는 연이은 제재에도 종전 계획된 자금 유입으로 단기 유동성은 개선될 수 있으나, 구조적 재무 부담은 여전하다고 진단한다. SK에코플랜트의 부채비율은 240%를 웃돌고, 순차입금 대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비율은 7배 안팎으로 주요 건설사 평균 3~4배의 두 배에 달한다. 한국신용평가는 "환경사업 매각 등으로 단기 유동성은 보완되겠지만, 반도체 등 신사업의 실적 기여 불확실성과 영업기반 약세로 신용등급 하향 압력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현재 SK에코플랜트의 신용등급은 장기 A- 안정적, 단기 A2- 수준이다.
업계에선 이번 영업정지와 회계제재가 겹치면서 SK에코플랜트의 자금조달 환경이 한층 더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당장 현금 보유액으로는 단기 만기를 버틸 수 있지만, 제재로 인한 신뢰도 하락이 장기 조달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수주 공백이 길어질 경우 신용도 방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