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국내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법인들이 ‘캄보디아 범죄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Prince Group)에 지급한 이자만 14억5000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은 가상자산 자금세탁 의혹이 제기된 후이원그룹(Huione Group)과도 거래한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은 프린스그룹에 예금 이자로 총 14억5400만원을 지급했다. 전북은행이 7억87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은행 6억7300만원, 신한은행 6100만원, 우리은행 1100만원 순이었다.

현재 국내 은행들이 보유 중인 프린스그룹 예치금은 총 911억7500만원 규모다. 국제 제재 조치에 따라 은행들은 해당 자금을 자체 동결한 상태다.

프린스그룹과 국내 은행 간 거래 규모는 당초 금감원 집계치(1970억4500만원)보다 증가한 2146억8600만원으로 재산정됐다. 이 중 전북은행이 1252억800만원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국민은행(707억8800만원), 신한은행(77억900만원), 우리은행(70억2100만원), IM뱅크(39억6000만원·해외 송금) 순이었다.

전북은행은 프린스그룹뿐 아니라 가상자산 자금세탁 의혹을 받는 후이원그룹과도 거래했다. 후이원그룹은 2018년 8월 전북은행에 당좌예금 1건을 개설했으며 현재 잔액은 10만원 수준이다. 다만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특성상 지난 7년간의 실제 거래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다.

프린스그룹과 후이원그룹은 최근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자금세탁 허브’로 지목된 바 있다. 프린스그룹 창립자인 첸지타오(Chen Zhi)는 마약·도박·사기·인신매매 등 국제 불법자금 거래에 연루된 혐의로 해외 제재 대상에 올랐다.

국내 은행들이 이들과의 거래를 통해 수억 원대의 이자를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불법자금이 국내 금융권을 경유했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전북은행이 가상자산거래소 '고팍스(GOPAX)'의 실명인증 계좌 제휴 은행이라는 점에서 자금세탁 리스크가 추가로 제기된다.

강민국 의원은 “프린스그룹과 후이원그룹은 국제 범죄조직의 핵심 네트워크로 지목되고 있다”며 “우리 정부가 관련 자금의 국내 유입 여부를 신속히 조사하고, 제휴은행의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