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무역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측은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조선업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 필요성을 적극 피력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전용기 내 브리핑에서 “한미 무역협상은 아직 타결 시점을 단정하기 어렵다”며 “전체 틀은 마련됐지만, 세부 협상이 복잡하고 처리할 과제가 많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4일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협상 타결에 매우 가깝다”는 발언과는 온도차가 있는 반응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 금액, 시간표 등 쟁점이 많고, 타결 지연이 곧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양국 모두 무역협상 타결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 별도로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해 한미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다. 그는 “우리는 더 많은 배를 만들기를 원한다”며 “미국에는 여전히 사용 가능한 조선소가 많고, 미국 조선업을 되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자리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한국은 이미 조선업 분야에서 미국에 투자 중이며, 현재 이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행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 7월 한미 무역협상 과정에서 조선업 분야에 1500억 달러를 포함한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조성에 합의했고,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다만 이후 투자금의 구성 방식과 이행 시기를 두고 3개월째 후속 협상이 이어지고 있다.

한미 간 무역협상 주요 쟁점 중 하나였던 비관세 장벽과 관련해서도 미국 측은 일부 진전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리어 대표는 “한국이 오랫동안 유지해온 비관세 장벽의 많은 부분을 해결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구체적인 해소 항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농산물 검역 등 비관세 장벽 완화를 요구한 바 있다.

오는 29일 한국 경주에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무역협상 타결 여부와 함께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협력 방안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협상 마무리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나, 양국이 전략 산업 중심의 실질적 협력 확대에 뜻을 모으고 있다는 점에서 성과 도출 가능성도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