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출처=EBN]
서울 아파트. [출처=EBN]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 12개 지역이 '3중 규제(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로 묶이면서 매매시장이 위축되고, 관망세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지난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3% 상승했다. 역대 최고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주(0.50%)에 비하면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했던 '한강 벨트' 지역 상승세도 눈에 띄게 둔화했다. 광진구는 지난주 1.29% 상승에서 이번 주 0.20% 상승에 그쳤고, 성동구(1.25%→0.37%), 강동구(1.12%→0.42%), 마포구(0.92%→0.32%) 등 주요 지역 역시 상승폭이 크게 축소됐다.

경기도에서는 과천(1.48%→0.58%)과 성남 분당(1.78%→0.82%) 등 재건축 기대감으로 가격이 급등했던 지역들의 상승률이 둔화됐다.

거래량 역시 대책 시행 이후 급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월 16일부터 29일까지 2주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계약일 기준)는 939건으로, 대책 시행 직전 2주간(2~15일) 4183건에 비해 77.6% 감소했다.

한편, 10·15 대책으로 매매가 어려워지면서 전·월세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단지 입주가 이어지고 있는 동대문구의 전세 매물은 지난 14일 1122건에서 이날 918건으로 보름 만에 18% 줄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