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연합]
[출처= 연합]

네이버가 글로벌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선도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산업 현장의 AI 전환을 위한 ‘피지컬 AI(Physical AI)’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이번 협력은 한국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와 산업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하며,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의 첫 실행 단계로 평가된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회동에 참석해 네이버의 AI 산업 전략을 직접 밝혔다.

이 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자동차의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대한민국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네이버와 엔비디아는 산업별 특화 AI 인프라 구축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 양사는 이날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를 위해 반도체·조선·에너지·바이오 등 국가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별 맞춤형 AI 모델을 개발하고, 실제 생산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특히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 등 3D 시뮬레이션 및 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현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예정이다. AI는 이 환경 속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단·제어를 지원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네이버는 이번 협력을 ‘소버린 AI 2.0’ 비전 실현의 첫걸음으로 보고 있다. 기존의 소버린 AI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 중심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하며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기술 프레임워크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네이버의 AI 기술과 엔비디아의 하드웨어·시뮬레이션 역량이 결합된 산업 AI 생태계 모델의 핵심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피지컬 AI’ 플랫폼이 본격 상용화될 경우, 한국의 제조·에너지·조선 산업은 데이터 기반 효율화와 자동화 수준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