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SK그룹]
[출처=SK그룹]

SK그룹이 국내 제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 엔비디아(NVIDIA) 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해당 클라우드는 SK그룹 내부뿐 아니라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 외부 수요처에도 개방돼 대한민국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아시아에서 옴니버스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 사례는 이번이 최초다.

SK그룹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 APEC 정상회의 CEO 서밋에서 만나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협력, 반도체 협력, 국내 제조 AI 생태계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옴니버스 기반 제조 AI 클라우드는 SK하이닉스 등 그룹 제조 분야뿐 아니라 정부, 공공기관, 스타트업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옴니버스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제조 공정을 3차원 가상공간에 재현해 수율 개선, 설비 유지보수 효율화, 비용 절감 효과를 지원한다. 

글로벌 제조업계에서도 AI를 활용해 불량을 조기 발견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이 중요한 상황에서 국내 스타트업과 제조업체들의 활용이 국내 제조 AI 역량 강화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제조 AI 클라우드는 SK하이닉스가 도입하는 엔비디아 최신 GPU(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2000여 장을 기반으로 이천캠퍼스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서 활용된다. SK텔레콤이 구축·운영·서비스를 담당하며, 해외 데이터센터에 의존하지 않고 옴니버스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국내 제조업에 최적화된 성능과 데이터 보안이 보장된다. 엔비디아는 GPU 공급과 함께 AI 모델 개발, 소프트웨어 최적화, 클라우드 운영 자동화 등 기술 협력을 병행한다.

RTX 프로™ 6000 블랙웰 GPU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강점이 있어 생성형 AI,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등 산업현장 AI 구현 수요가 높다. SK와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높은 비용과 장비 수급 문제로 AI 도입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제조업 기업들이 AI 활용을 본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IMM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SBVA 등 VC와 함께 제조 AI 스타트업 육성에도 나선다.

SK그룹은 GPU 5만 장 이상 규모 AI 인프라 'AI 팩토리' 구축 계획도 밝혔다. AI 팩토리는 제조 AI 클라우드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포함한 ‘엔비디아 GPU 기반 AI 산업 클러스터’로, 2027년 울산에 100MW 규모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세워 아시아·태평양 AI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SK그룹은 디지털 트윈, 로봇, 거대언어모델(LLM) 학습 및 추론, 3D 시뮬레이션 등 산업용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도약한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AI 메모리 주요 파트너로, HBM3·HBM3E 핵심 공급사 지위를 이어가고 있으며, 4분기부터 HBM4 공급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최 회장은 "AI를 산업 혁신의 엔진으로 삼아 산업 전반이 규모,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CEO는 "SK와 함께 AI 팩토리를 조성하며 한국 AI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기쁘다"고 강조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엔비디아와 AI 네트워크(AI-RAN) 연구개발 MOU를 체결했다. AI-RAN은 여러 기기에서 생성되는 AI 데이터를 저지연·고속으로 무선망에서 전송하는 기술로, 삼성전자, 연세대, ETRI 등과 실증, 표준화, 상용화를 추진하며 한국을 글로벌 AI-RAN 기술 검증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내년부터 R&D와 실증망 구축을 지원하며, SK텔레콤은 AI-RAN 특화 서비스 발굴에도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