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CI. [출처=연합]
오픈AI CI. [출처=연합]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지난달 국내 신규 사용자가 8개월 만에 100만명을 밑돌았다. 급성장하던 챗GPT에 제동이 걸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4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0월 챗GPT의 신규 설치는 94만3153건으로 집계됐다. 전달인 지난 9월 134만8320건 대비 3분의 2 수준으로 급락했다. 

챗GPT 신규 설치가 100만건을 하회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챗GPT 국내 신규 설치는 모바일인덱스 기준 지난 3월(143만6242건)으로 처음 100만건을 넘어선 뒤, 4월 466만8381건으로 정점을 찍고 이후 꾸준히 100만건을 상회해왔다.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급성장을 이어가던 챗GPT 국내 사용자가 포화 상태에 이른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챗GPT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챗GPT MAU는 1304만8025명으로, 모바일인덱스 기준 처음으로 13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022년 11월 출시 이후 챗GPT는 전 세계적인 AI 혁명을 이끌며 AI 활용과 확산을 주도해왔다는 평을 받는다. 챗GPT의 글로벌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10억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오픈AI는 비영리 재단의 통제 아래 공익법인으로 전환하는 내용의 기업구조 개편 방안을 확정, 초대형 기업공개(IPO)의 초석을 다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오는 2027년을 목표로 최대 1조달러(약 1400조원) 규모의 IPO 사전 정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초기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관련 합의도 마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