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씨어스테크놀로지 임직원이 씽크가 설치된 병동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출처=대웅제약]
대웅제약, 씨어스테크놀로지 임직원이 씽크가 설치된 병동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출처=대웅제약]

동탄시티병원이 대웅제약·씨어스테크놀로지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를 전 병상(90병상)에 도입했다고 6일 밝혔다.

병원은 지난달 23일 본관에서 스마트 병동 기공식을 열고 김미영 행정원장과 주요 보직자, 대웅제약 조병하 사업부장, 씨어스테크놀로지 강대엽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이번 구축은 경기도 화성시에서 첫 ‘AI 스마트 병동’ 도입 사례로, 환자 안전성 제고와 의료진의 업무 효율 증대를 목표로 한다.

‘씽크’는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심박수·호흡·체온·산소포화도·심전도 등 주요 생체신호를 실시간 수집·분석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람을 전송한다.

특히 야간이나 격리병실 등 관찰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환자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 응급 상황의 골든타임 확보에 도움을 준다.

낙상 감지 센서와 전자의무기록(EMR) 연동 기능도 탑재돼 낙상 위험을 사전에 포착하고, 활력징후가 자동 기록돼 수기 입력 부담을 줄인다.

AI가 축적·분석한 데이터는 환자 맞춤형 간호와 진료, 정확한 임상 의사결정에 활용돼 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동탄시티병원은 이번 도입을 계기로 신관 개원과 AI 영상진단센터 설립을 추진하며 병상 규모를 90병상에서 180병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병원은 대학병원 수준의 진료 환경을 강화하고 지역 거점병원으로서 역할을 공고히 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김미영 동탄시티병원 행정원장은 “AI 스마트 병동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병원의 가치가 담긴 프로젝트”라며 “의료진과 보호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병동 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조병하 대웅제약 디지털헬스케어 사업부장은 “씽크 도입을 통해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의료 서비스를 구현하는 첫 걸음을 내디뎠다”며 “병원과의 협력으로 지역 의료의 질을 높이고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