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BNK금융지주]
[출처=BNK금융지주]

BNK금융그룹 7명의 회장 후보군을 추리면서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본격 궤도에 올랐다. 빈대인 회장은 코로나19 이후 흔들렸던 그룹 체질을 안정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연임이 유력한 상황이지만, 금융당국이 절차적 투명성을 강조하며 예의주시하는 만큼 결과는 예단하기 어렵다.

7일 BNK금융에 따르면 임추위는 전일 최고경영자(CEO) 1차 후보군 7명을 확정했다. 임추위는 금융감독원 모범규준에 따라 관리해온 내·외부 인재풀 가운데 지원서를 낸 후보들을 대상으로 서류 심사를 진행했다. 검증 절차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예년보다 심사 회차를 늘려 총 3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회장 선임 레이스 초반까지만 해도 사실상 빈대인 회장 1강 체제나 다름 없는 분위기였다. 2023년 취임한 빈 회장은 부산은행장과 BNK금융지주 대표를 거친 정통 내부 출신으로, 그룹의 건전성 관리와 자본비율 개선, 지역경제 지원 확대에 집중해왔다. 

빈 회장은 그 동안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속에서도 건전성을 방어하는데 성공했고, 디지털 전환과 중소기업 대출 확대를 병행하면서 실적 반등세를 이끌었다. BNK금융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전년 대비 9% 가까이 늘어난 77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인 7285억원을 3분기 만에 뛰어 넘었다.

2분기 급등했던 연체율도 3분기들어 1.34%로 0.05%p 내렸다. 주주환원 여력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 비율은 3분기 12.59%로 전분기 대비 0.03%p 올랐다. 연간 올해 주주환원율이 40%에 근접할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내부에서는 빈 회장의 리더십이 안정적 성장의 기반이 됐다는 평가가 많다. 빈 회장은 지난 2년간 리스크 관리 중심의 경영기조로 체질을 바꿔놓는데 성공했다.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연속성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BNK 회장 선출 절차에 특이한 점이 보인다”며 “절차상 하자가 발견되면 수시검사에 착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인선 과정이 내부 논의 위주로 불투명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국회 지적 이후, 절차적 공정성을 살펴보고 있다. 지방금융지주 인사에 대한 깜깜이 선출 논란이 반복돼선 안 된다는 것이다.

BNK금융 회장은 김지완 전 회장을 제외하면 대부분 부산은행 출신이 자리했다. 빈 회장과 함께 자동 후보에 오르는 내부 인원 중에서 방성빈 부산은행장이 거론된다. 다만 빈 회장이 건재한 상황에서 방 행장과 경쟁 구도를 이루긴 힘들것으로 보인다. 특히 방 행장은 빈 회장이 발탁한 인사다.

얼마나 굵직한 외부 인사가 등장할 지도 변수다. 빈 회장은 2023년 취임 당시에도 위부 인물과 경쟁한 바 있다.

BNK금융이 이번 인사에서 내부 승계 기조를 유지한다면 안정적 성장 전략을 이어갈 수 있지만, 외부 인사를 선택할 경우 체질개선 모드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BNK가 디지털금융과 자산관리(WM) 부문에서 전국 단위 경쟁을 강화해야 하는 시점이라, 내부 안정과 외부 쇄신 사이의 균형이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빈 회장은 지역 기반의 신뢰와 경영 안정성을 무기로 연임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면서도 “금융당국의 감시와 정치권의 시선이 동시에 맞물려 있다는 점은 부담"이라고 말했다.

임추위는 향후 프레젠테이션 심사와 외부 전문가 면접을 거쳐 2차 후보군을 추릴 예정이다. 이후 심층 면접을 통해 최종 후보를 확정하고, 이사회의 의결과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공식 회장을 선임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