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뉴카이로 소재 국제전시센터(EIEC)에서 열리는 현지 최대 교통물류 전시회 ‘TransMEA 2025’에 참가하는 현대로템 전시관 전경.[출처=현대로템]
이집트 뉴카이로 소재 국제전시센터(EIEC)에서 열리는 현지 최대 교통물류 전시회 ‘TransMEA 2025’에 참가하는 현대로템 전시관 전경.[출처=현대로템]

현대로템이 이집트에서 수소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현지의 잠재적 수소전기트램 시장 공략에 나섰다. 현대로템은 9일부터 11일까지 이집트 뉴카이로 국제전시센터(EIEC)에서 열리는 현지 최대 교통·물류 전시회 ‘TransMEA 2025’에 참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현대로템은 현대자동차그룹 수소 브랜드 ‘HTWO’ 전략에 맞춰 생산부터 저장·공급·활용으로 이어지는 수소 밸류 체인(Value Chain) 통합 솔루션 역량을 집중 소개한다. 특히 이집트가 조성 중인 신행정수도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수소전기트램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점에 주목해, 향후 사업 기회를 선제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집트는 카이로 동쪽에 약 700㎢ 규모의 신행정수도를 건설 중으로, 완공 시 600만명 이상이 거주 가능한 대규모 도시다. 현대로템은 국내 상용화를 앞둔 수소전기트램 기술과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 능력을 중심으로 현지 파트너십 발굴 및 사전 영업 활동을 전개한다.

전시 부스에는 피라미드·스핑크스 등 이집트 상징물을 배경으로 수소전기트램 주행을 체험할 수 있는 VR 콘텐츠를 마련해 관람객 친화형 홍보에 나섰다. 아울러 바이오가스 기반 그린수소 생산,  수소 충전소,  수소전기트램 운행으로 이어지는 수소 생태계를 3차원 축소 모형으로 구현해 차량부터 인프라까지 아우르는 수소 통합 솔루션을 시각적으로 제시했다.

현대로템은 2012년 카이로 1호선 전동차 180량 공급을 시작으로 카이로 2·3호선 전동차 624량, 알렉산드리아 트램 30편성 등 총 수백량 규모 철도 차량을 공급하며 이집트 철도사업 주요 공급사로 입지를 구축했다. 현지 업체와의 생산기술 이전, 현지 조립 및 유지보수 수행 등을 통해 장기적 협력 기반도 강화하고 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수소전기트램과 수소 인프라 등 생산에서 활용까지 아우르는 수소 기술력을 기반으로 이집트 신행정수도에 최적화된 수소 통합 솔루션을 알릴 것”이라며 “한-이집트 수교 30주년을 맞아 K-철도의 대표주자로서 양국의 철도산업 협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