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셀트리온]](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6522_704574_617.jpg)
셀트리온 소액주주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와 경영 쇄신을 요구하며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오프라인 지분 수거 캠페인을 시작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그룹 소액주주들로 구성된 셀트리온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목표로 오프라인 지분 수거 캠페인에 본격 착수했다. 이는 주주들의 위임장을 확보해 의결권을 결집하기 위한 절차다.
비대위는 임시주총에서 이사회 견제 기능을 복원하고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는 안건을 상정한다는 계획이다.
핵심 요구안으로는 △집중투표제 도입 △보유 자사주의 100% 소각 △계열사 분할상장 제한 조항 신설이다. 특히 집중투표제 도입을 핵심 과제로 꼽았는데, 소액주주 표를 특정 후보에게 집중시켜 소수 주주 대표 이사 선임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또한 회사가 약속했던 50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이 이행되지 않은 점을 문제로 지적하며, 경영진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자사주 소각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대위는 셀트리온 주가가 수년째 10만원 중반대 박스권에 머무는 데 대해 경영진 책임을 크게 보고 있다. 특히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제시하고 실제 성과가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시장의 신뢰가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대표적 사례로 미국 시장에 출시된 신약 ‘짐펜트라’를 꼽았다. 셀트리온은 연 매출 7000억원을 목표로 제시했으나 이후 3500억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그러나 시장 일각에서는 실제 달성 가능치를 1000억원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 회장은 이러한 괴리에 대해 “유통 구조 판단 착오”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는 “주주권 강화를 위한 합법적 절차를 끝까지 이행하겠다”며 “이번 임시주총은 단순한 주가 부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셀트리온의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와 신뢰 회복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셀트리온 주가는 정체된 반면 최대주주 및 우호 지분이 10% 가까이 증가한 점을 두고 일부 주주들 사이에서는 ‘저가 매수를 통한 지배력 강화’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