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포럼 ]
[출처=포럼 ]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이 오는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제주썬호텔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제주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의미를 돌아보고, 4·3의 세계화를 위한 남은 과제를 논의하는 국제 학술대회다.

제주4·3평화재단은 13일 오후 5시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의 기조 강연으로 행사의 막을 올린다. 추 위원장은 ‘제주4·3 진실규명의 의미’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그는 지난 1999년 제주4·3의 희생이 담긴 수형인명부를 최초 공개해 진상규명의 전기를 마련했으며, 이번 강연에서 4·3특별법 제·개정과 직권재심, 국가보상금 지급 등 과정과 남은 과제에 대한 견해를 밝힐 예정이다.

둘째 날인 14일 오후 1시부터는 학술세션이 이어진다. 제1세션에서는 양정심 제주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이 ‘제주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과정’을, 김귀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위원회 의장이 ‘등재 이후 과제’를 발표한다.

제2세션에서는 이용우 동덕여대 교수가 프랑스의 과거사 청산을, 마렉 돈브로프스키 폴란드 국립추모연구소 부소장이 위르겐 스트루프 보고서 등재 사례를, 안 영 마하라자 넬슨만델라재단 연구원이 ‘넬슨 만델라 기억의 대중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제3세션에서는 천정환 성균관대 교수가 ‘민주화 기억의 정치경제와 한국민주주의의 위기’, 김현승 부산문화재단 팀장이 ‘기억의 공유’, 박광일 여행이야기 대표가 ‘역사기행을 통한 기억의 확장’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허은 고려대 교수를 좌장으로 김재용 원광대 명예교수, 박찬식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장, 양재혁 성균관대 강사가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이번 포럼이 제주4·3 기록물의 기억을 내일로 이어가는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