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25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 제1 전시관에 관람객들이 줄을 서고 있다. [출처=이경은 기자]
지스타 2025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 제1 전시관에 관람객들이 줄을 서고 있다. [출처=이경은 기자]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5'에 나흘간 20만명이 넘게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출시를 앞두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아이온2'를 필두로 넷마블의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등을 직접 플레이해 볼 수 있는 시연대에 이용자들이 몰리며 인기를 끌었다. 

지스타 조직위원회는 이달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린 지스타 2025에 4일간 총 20만2000여명이 방문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행사에는 B2C 및 B2B 합산 총 3269부스가 마련됐다. 지난해 관람객 21만5000여명, 3359부스에 비하면 소폭 줄었다. 

엔씨소프트는 이번 지스타에 창사 이래 최초로 메인 스폰서로 참가했다. 오는 19일 한국과 대만에 동시에 출시되는 신작 초대형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2를 비롯해 △신더시티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총 5종의 신작을 공개했다.

특히 게임 시연 외에도 압도적 규모의 돔형 파노라마 상영관 'NC시네마'를 통해 다양한 신규 트레일러를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몰입 경험을 제공했다.

구글코리아는 신작 '쿠키런: 오븐스매시' PC 버전 체험존을 중심으로 2025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우승자 '케리아' 류민석 등 인기 인플루언서와 함께하는 현장 이벤트를 펼쳤다.

넷마블은 △프로젝트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KARMA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몬길: STAR DIVE 등 다양한 신작을 선보였다. 전시장 안팎에서 인플루언서 프로그램을 운영해 눈길을 끌었다. 

웹젠은 '게이트 오브 게이츠'·'테르비스' 두 작품을 출품하며 체험 중심의 부스를 꾸몄다. 자사 지식재산권(IP) '웹젠 프렌즈'를 활용한 테마파크형 이벤트존으로 즐길거리를 제공했다. 

크래프톤은 '팰월드 모바일'을 테마로 한 전시 공간을 조성해 실제 게임 속 세계관을 구현했고, 현장에서 첫 시연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제2전시장 B2C관에는 반다이남코, 블리자드, 세가·아틀러스, 워호스 스튜디오 등 해외 게임 개발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운영된 B2B관은 네트워킹 라운지를 대폭 확대하고, 소형 부스가 라운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해 전시 참가 규모와 상관없이 누구나 다양하고 많은 비즈니스 상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 기간 B2B 전시장에 직접 방문한 유료 바이어는 2190명으로 집계됐다.

지스타의 공식 콘퍼런스 'G-CON'은 올해 '내러티브(Narrative)'를 주제로 총 16개 세션을 단일 트랙으로 진행됐다. 게임 스토리텔링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글로벌 창작자들의 통찰을 한데 모았다.

이에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 공간에서 열렸음에도 대부분의 세션에서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만큼 인기를 얻었다. 

일본을 대표하는 창작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일본 역할수행게임(RPG)의 상징 '드래곤 퀘스트'의 호리이 유지, '페르소나 3, 4, 5' 및 '메타포: 리판타지오'의 카츠라 하시노 & 시게노리 소에지마 등이 연사로 나서 일본 RPG와 스토리 기반 게임 창작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소개했다. 

서구권에서도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의 제니퍼 스베드버그-옌, '디스코 엘리시움'의 로버트 쿠르비츠 등이 강연했다. 

국내에서는 네오위즈 라운드8의 이상균, 진승호, 최지원 디렉터 그리고 권병수 내러티브 디렉터가 각자의 창작 방법론을 공유하고 관람객들과의 뜻깊은 만남을 이어갔다.

조영기 지스타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올해 지스타가 다양한 서사와 이야기를 담은 전시 구성, 그리고 시연은 물론 관람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몰입형 콘텐츠를 강화한 만큼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새로운 체험 방식과 전시 형태를 지속적으로 모색해 한 단계씩 꾸준히 발전하는 지스타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