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한국 경제의 핵심 축인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이 내년에 1.5%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미국 관세 정책 본격화와 중국과의 경쟁 심화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제조업 성장세가 한층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서비스업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제조업을 앞지를 것으로 예측됐다.

17일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가 발표한 중기 경제 전망에 따르면 내년 제조업 실질 부가가치는 올해 1.8%에서 1.5%로 0.3%p 하락한다. 상반기 1.6%에서 하반기 1.4%로 점진적 둔화가 예상된다. 예정처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본격 영향을 미치고 국내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된 여파”라고 진단했다.

중국 업체와의 경쟁 격화도 부담 요인이다. AI 수요 확대에 힘입어 내년 세계 IT 시장 매출은 8.5% 성장할 전망이지만, 반도체 가격은 중국 업체의 공급 확대로 다시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도 상황이 밝지 않다. 글로벌 수요 둔화에 더해 미국의 품목별 관세 부과가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서비스업은 보건업 수요 증가와 여행·운수업 회복세에 힘입어 내년 부가가치 증가율이 2.0%로 올해(1.4%) 대비 0.6%p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제조업보다 약 0.5%p 높은 수치다. 다만 대출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은 소비 심리를 제약해 서비스업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지목됐다.

중기 전망에서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격차는 지속된다.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2027년 2.1%로 반짝 회복된 뒤 다시 2028년과 2029년 각각 1.7%로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은 2.0~2.1%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제조업 우위를 지속할 전망이다. 제조업 저성장이 구조화되는 사이 서비스업이 경제의 상대적 성장축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굳어진 셈이다.

주요 기관들도 내년 경기의 중심축이 수출보다 내수에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며 “수출은 둔화하지만 내수 회복이 성장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