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엠브레인]
[출처=엠브레인]

설문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이 실시한 ‘신약 혁신성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국민 대다수가 신약의 혁신성은 치료 효과뿐 아니라 실제 환자가 사용 가능한지까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글로벌 제약사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의 후원으로 2025년 8월~10월 진행됐으며 전국 성인 1000명(암·중증질환 환자 및 보호자 200명 포함)이 참여했다.

응답자의 69.5%는 “본인이나 가족이 암·중증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으며 비슷한 비율인 69.7%는 “신약 사용이 어렵다”고 인식했다.

신약 접근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경제적 부담(54.2%), 정보 부족(52.2%)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층에서 ‘정보 부족’ 문제를 더 크게 인식했다.

신약 치료 경험자 중에서도 절반 가까운 47%가 “신약 치료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지만 이 중 74%가 실제 치료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했다.

국민의 84%는 “신약은 접근성까지 보장될 때 비로소 혁신”이라고 응답했으며 “경제적 이유로 사용할 수 없다면 혁신이 아니다”라는 응답 역시 82.7%에 달했다.

신약 접근성 개선을 위해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주체로 정부(89%), 의료진(83.5%), 제약사(64.2%) 순으로 꼽혔다.

또한 “일부 주체만 강조된다” 70.8%, “정부·제약사·의료진·환자·언론 모두 협력해야 한다” 87.2%로, 사회적 공통 과제로서의 접근성 문제를 강조하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신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