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부터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온라인을 넘어 은행 영업점에서도 제공된다. 고령층 등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과 영업점 축소 지역 거주자도 창구에서 다른 은행 계좌 조회·이체와 자산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금융위원회는 이날부터 전국 11개 은행(농협·신한·우리·기업·국민·하나·아이엠·부산·광주·전북·경남)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8개 은행(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광주·전북·기업)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오픈뱅킹은 2019년 금융결제원을 통해 구축된 공동 인프라로 간편송금, 자산관리, 해외송금 등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의 기반이 된다. 2022년 본격 시행된 금융 마이데이터는 이용자가 금융자산과 거래내역 등을 통합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다. 두 서비스 모두 온라인·모바일 기반으로만 운영돼 왔으나 이번에 처음으로 오프라인 창구 제공이 허용됐다.
금융위는 “디지털 취약계층과 영업점 폐쇄 지역 주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채널을 대면으로 확대한 것”이라며 “금융소비자 이익을 우선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은행권에는 과당 경쟁 방지, 소비자 보호, 데이터 보안 강화, 창구별 제공 서비스 편차 방지 등을 준수하도록 했다.
이번 서비스 확대는 금융 소외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은행 영업점 수는 2019년 6709개에서 올해 5625개로 16.2% 감소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오프라인 서비스 병행을 통해 지역 간 금융 접근성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영업점 현장 방문에서 “AI·디지털 등 기술 발전으로 생산성은 개선됐지만 그 혜택이 모든 구성원에게 고르게 돌아가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맞춤형 안내와 홍보를 강화해 포용적 금융 인프라가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