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개최된 '도쿄포럼2025'에서 개회사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SK그룹]
최태원 SK회장이 21일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개최된 '도쿄포럼2025'에서 개회사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은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에서 "기존 자본주의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가치'가 새로운 성장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환경 부담, 양극화 등 복합적 위기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사회적가치를 체계적으로 측정·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자본주의 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태원 회장은 이날부터 이틀간 일본 도쿄대 야스다 강당에서 열리는 '도쿄포럼 2025'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도쿄대가 2019년부터 공동 개최해온 국제 행사다. 올해 주제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로 기술 변화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자본주의가 맞닥뜨린 구조적 문제를 짚고 대안을 모색한다.

최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가 재무성과 중심으로 작동해 왔다는 점을 짚으며 "사회적가치에는 보상과 인센티브가 뚜렷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기업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사회적가치는 단순한 경제적 이익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이해관계자 전체의 행복을 확장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회적가치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기술적 제약이 컸다고 평가했다. 최 회장은 "그동안 데이터 부족과 높은 거래비용이 측정의 걸림돌이었다"며 "지금은 디지털 기술과 AI라는 강력한 도구가 생겨 체계적 관리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AI 기반 측정이 정교해질수록 기업의 자원 배분 기준도 달라지고 행동 변화를 이끌 인센티브 설계도 쉬워질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SK 계열사들이 활용 중인 '사회적가치 측정' 사례를 구체적 예로 들었다. 일자리 창출, 납세 규모, 환경 영향, 지역사회 기여 등 여러 항목을 플러스·마이너스로 평가해 경영 판단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며 "측정이 시작되면 기업 의사결정 방식 자체가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도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재무적 가치 창출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가치를 매년 개선하는 것이 새로운 목표가 되고 있다"며 "이 변화는 기업의 자원 배분 기준을 바꾸고, 재무 성과 중심에서 사회적가치까지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전환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같은 날 열린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도 패널로 참석했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자본주의 모델 탐색’을 주제로 후지이 데루오 도쿄대 총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등과 함께 논의에 나섰다. 패널들은 기업·정부·사회가 공동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협력적 자본주의’와 AI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대화를 나눴다.

이번 포럼에는 최 회장 외에도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 겸 한국고등교육재단 대표, 마리안 베르트랑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경제학 석좌교수, 고지마 후히토 도쿄대 경제학부 교수,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 김선혁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호시 다케오 도쿄대 경제학과 교수 등 국내외 학계·경제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지속가능한 자본주의 모델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