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출처=CJ대한통운]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출처=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기반 자율 운영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CJ대한통운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물류산업 AI혁신 세미나’에서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동력으로 ‘피지컬AI 기반 물류 AX(AI Transformation) 전략’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주관했으며, 정부 AI 육성정책에 맞춰 물류산업의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은 ‘넥스트 레벨 물류, 피지컬AI로 가다’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구 담당은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실물 데이터가 피지컬AI 발전의 최적 토양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환경을 인지·판단·행동까지 수행하는 피지컬AI는 물류의 DX 수준을 넘어 AX 단계로 진입하게 하는 결정적 기술로, 효율 향상을 넘어 제조·유통 등 공급망 전반의 비용 절감과 경쟁력 제고로 확장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은 AI 기반 물류 AX 전략으로 △의사결정 자동화를 통한 지능형 물류센터 구축 △작업 정확도 향상을 위한 로봇 자동화 고도화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네트워크 최적화를 제시했다.

또한 로보티즈·레인보우로보틱스·에이딘로보틱스 등 하드웨어 및 로봇핸드 전문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물류 AI 얼라이언스’를 구축해 왔다. 최근에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개발을 위해 리얼월드AI와 지분 투자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을 체결하며 AI 생태계를 넓히고 있다.

한편 세미나에서는 장영재 카이스트 AI연구소장, 장병탁 서울대 교수, 손동신 LG CNS 로봇담당위원 등이 발표에 참여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와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 전문가들이 참석해 물류 AX의 정책·기술 로드맵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