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8237_706688_4924.jpg)
금융지주들이 생산적·포용 금융 강화 기조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에 나서고 있다. 5대 금융지주의 포용금융 배정액은 약 70조원에 수준으로, 저신용자 금리 인하·전용 대출상품 개편·데이터 기반 신용평가 모델 혁신 등 후속 조치가 대거 추진되면서 은행권 전반에 '포용금융 드라이브'가 걸렸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금융지주 임원들을 소집해 기존 서민금융 상품을 넘어선 각 은행의 고유한 서민금융 상품 개발을 주문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저신용자들 금리 이슈를 재차 강조하면서 포용금융 확대를 앞당겼다. 이 대통령은 지난 1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가난한 이들일수록 비싼 이자를 부담한다며 이를 '금융 계급제'라고 언급했다.
금리 우대·신용사면…자립준비청년 도움 등 비금융 지원도
우리은행은 서민금융 대표 상품인 '우리 새희망홀씨Ⅱ' 금리 체계를 손질했다. 중신용 7등급 이하 고객에게 0.3%p 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대출 기간 중 연체 없이 상환한 고객에게는 내부등급에 따라 최대 3.0%p 추가 감면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새희망홀씨 대출을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6374억원 공급하며 관련 시장을 주도해 왔다.
KB국민은행은 ‘KB 새희망홀씨II’ 금리를 대폭 조정했다. 지난 9월 신규 금리를 1%p 인하한 데 이어 금리 상한도 연 10.5%에서 9.5%로 낮췄다.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1%p 추가 인하를 시행하며 실질적인 지원 폭을 넓혔다. KB국민은행은 3721억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 패키지를 별도 구성했고, 자립준비청년 주거지원을 위한 ‘KB드림홈’, 출산 초기 가정에 육아용품을 제공하는 ‘우리아이 첫 선물’ 등 비금융 프로그램까지 병행하고 있다.
농협금융그룹은 포용금융의 핵심 타깃인 ‘성실 상환자’ 지원을 제도화했다. 연체는 없지만 과거 연체 이력으로 금리와 한도에서 불이익을 받아온 고객 약 22만명을 신용사면 대상으로 분류했다. 이 중 19만명(84%)은 신용평점 상승이 예상된다. 실제 금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는 조치로 평가된다. NH농협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마이데이터 대면 서비스를 도입해 디지털 소외계층이 영업점에서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NH농협금융은 그룹의 정체성을 담아 '기후패키지 금융'도 내놨다. 탄소배출권 거래 기반 대출과 금리 우대를 결합한 국내 최초의 통합형 모델로, NH농협은행과 NH투자증권이 공동 설계했다.
하나은행은 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와 협업해 소상공인 지원 생태계를 확대한다. 가맹점 대상 지원 프로그램, 금융·통신 결합 결제 혜택, 디지털 전환 지원 상품 개발 등이 포함되며, 실물·플랫폼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 영역을 넓히는 전략이다.
신한은행은 자체 배달앱 ‘땡겨요’에서 축적한 실거래 데이터를 활용해 자영업자 전용 신용평가 모델을 새로 구축했다. 영업 패턴·매출 흐름·고객 반응 등 비정형 데이터를 반영해 대출 한도를 높이고 금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신한은행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장애인의 금융 접근성 확대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BNK금융은 부울경 지역 특화 금융모델을 강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취약계층 맞춤형 상품, 사회적 약자 보호 프로그램 등을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ESG기준 평가에서 3년 연속 사회 부문 A+ 등급을 받았다. 금융권 최고 수준이다.
금융당국, 추가 개선안 내놓을 듯…접근성 실태 검토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포용금융 확대 계획을 점검하는 한편, 취약계층 금리 산정 방식과 금융 접근성 실태를 재검토해 추가 개선안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포용금융 확대로 인한 부작용도 적지 않다. 성실하게 상환해 온 고객이 역차별을 받는 구조라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신용점수 601∼650점 차주의 평균 금리는 5.13%인데, 600점 이하의 저신용자는 4.73%로 나타나 금리가 뒤바뀌는 역전 현상이 현실화됐다. 저신용자 금리 인하 재원을 사실상 고신용자가 떠안는 구조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은행 관계자는 "기존에도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대출이 운영돼 왔는데 '포용금융'이라는 별도 정책 드라이브가 걸리면서 시장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며 "시장 논리에 맞는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