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8359_706827_5823.jpg)
한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주요국 가운데 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 회복과 내수 개선이 맞물리며 경기 반등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26일 한국은행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166%로 집계돼, 속보치가 발표된 26개국 중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기저효과가 반영된 이스라엘(2.967%), 2위는 인도네시아(1.216%)였다. 중국은 1.1%로 한국보다 낮았으며, 영국·독일·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은 저성장에 머물렀다. 일본은 -0.442%로 최하위였다.
한국 경제는 올해 들어 '상저하고' 흐름을 보이고 있다. 1분기 성장률은 -0.219%로 부진했으나 2분기(0.675%)부터 회복세를 나타냈고, 3분기에는 작년 1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도 상향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높이며 한국의 잠재성장률(1.8%)을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 업황 개선, 자산가격 상승, 민간 소비 회복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는 정부 및 IMF(1.8%), OECD(2.2%), 한국금융연구원(2.1%) 전망을 상회하며, 한은이 지난 8월 제시한 1.6%보다는 0.7%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노무라는 한국은행이 내년 기준금리를 연 2.50%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확장 재정 기조가 유지되며 경기 회복을 지원할 것이란 분석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