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노바는 영상이나 음원의 화질을 개선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준다. 이미지나 영상, 음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SR(Super Resolution) 기술이 적용됐다.
슈퍼노바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기존 미디어 파일, 산업용 장비의 센서가 감지한 이미지를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다.
산업현장과 개인고객 대상 서비스 모두에 응용할 수 있어 스마트팩토리·콘텐츠 플랫폼·지능형 보안 서비스·e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협업에 적용 가능하다.
우선 SK텔레콤은 MWC 2019 전시관 5G 커넥티드 팩토리 부스에 슈퍼노바를 활용한 반도체 제조공정 혁신 모델을 전시하고 데모룸에서 방송·콘텐츠를 결합한 솔루션을 공개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0월 SK하이닉스 반도체 품질평가(Quality Assessment, QA) 공정에 슈퍼노바를 시범 적용했다.
SK하이닉스는 '슈퍼노바' 적용 후 웨이퍼 이미지를 검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을 판정하는 QA 공정에는 고품질의 반도체 영상 취득이 필수적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기존 반도체 공정은 웨이퍼를 여러 차례 반복 촬영하고 그 영상을 합성하는 작업을 거쳐 왔다"며 "슈퍼노바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AI가 영상을 분석한 뒤로 촬영 횟수와 처리 시간이 대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SM엔터테인먼트 등과 슈퍼노바를 활용한 콘텐츠 혁신도 주도하고 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지난해 7월 자사 IPTV 인프라에 슈퍼노바를 적용한 이후 방송사가 송출한 원본영상을 한 단계 높은 화질로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5G와 UHD 방송 및 모바일 게임,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혁신에도 활용이 기대된다.
또 SK텔레콤은 슈퍼노바를 SM엔터테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접목해 △미디어 파일의 음질을 원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기술 △음원에서 보컬, 반주 등의 구성 요소를 분리해내는 '음원 분리 기술(AI Vocal Remover)'도 선보인다.
전진수 SK텔레콤 미디어랩스장은 "AI 기반 고속 미디어 개선 기술은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2B·B2C 서비스로 폭넓게 응용 가능하다"며 "SK텔레콤은 슈퍼노바를 활용한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5G 고도화에 발맞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