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유가 급락이 지속하면서 원유 재고가 불어난 가운데 저장 시설마저 소진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일제히 5월물을 매도하는 동시에 6월물 이후 원유선물로 롤오버하는 수요가 불어났기 때문이다. 이 결과 원유 가격은 정상 궤도를 이탈해 마이너스권으로 미끄러졌다. 이에 미국은 유가 하락을 이용해 7500만 배럴의 원유를 비축하겠다고 밝혔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7.63달러에 장을 끝냈다. 이는 지난 17일 종가 18.27달러에서 55.90달러, 305% 폭락한 수치다.
국제유가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역사상 처음이다. 원유 생산업체가 돈을 얹어주고 원유를 팔아야 하는 것으로, 수요가 아예 사라졌다는 의미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 활동이 급감하면서 원유 수요가 급전직하하고 공급이 넘치는 상황에서 원유시장의 '선물 만기 이벤트'까지 맞물린 결과다
5월물 WTI 만기일(21일)을 앞두고 선물 투자자들은 5월물 원유를 실제로 인수하기보다는 대부분 6월물로 갈아타는 '롤오버'를 선택했다.
재고가 넘쳐나고 원유저장 시설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제히 5월물을 팔아치우고 6월물을 사들이면서 비정상적으로 가격이 틀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5월물의 거래량은 적었고, 오히려 6월물이 활발하게 거래됐다고 WSJ은 보도했다.
실제로 21일부터 본격적으로 거래되는 6월물 WTI는 2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영국 ICE 선물거래소에서 거래중인 브렌트유도 전일 대비 2.51달러 하락한 25.57달러로 장을 마쳤다.
시장에서는 이번 마이너스 하락이 실물인수도 방식으로 이뤄지는 WTI 선물 결제방식에 따라 일어난 특수한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더욱 장기화되어 경제가 침체해 원유를 필요로하는 수요가 낮은 수준(공급과잉)이 지속되는 한 이번과 같은 현상이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실제 '글로벌 벤치마크' 유종인 브렌트유는 배럴당 25달러선에 거래되고 있다. 오후 3시45분 현재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6월물 브렌트유는 7.98%(2.24달러) 내린 25.84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21일부터 본격적으로 거래되는 6월물 WTI는 4.09달러 내린 20.94달러를 기록했다. 단순히 외견상으로만 보면 마이너스권의 유가가 하루새 20달러 선으로 급등할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WTI 10월물은 32달러, 11월~12월물은 33달러선에 머물고 있다. 골드만삭스 측은 "적어도 5월 중순까지는 시장 혼란이 지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미국은 마이너스 유가에 원유를 사들이겠다고 밝혔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금은 원유를 사기에 아주 좋은 때”라면서 "유가 하락을 이용해 7500만 배럴의 원유를 구매해 전략 비축유를 보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