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프로게이머 '페이커' 이상혁 선수의 증강현실(AR)기반 디지털 휴먼 콘텐츠를 새롭게 선보이며 자사 증강현실 앱 '점프 AR 플랫폼'을 미국 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공식 론칭한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통신사가 운영하는 증강현실 앱으로서는 최초의 북미시장 진출사례이다.
SK텔레콤은 이상혁 선수의 디지털 휴먼 콘텐츠를 이날부터 자사 점프AR 앱에서 공개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자사 혼합현실 콘텐츠 제작소인 점프스튜디오의 볼류메트릭 비디오 캡쳐 기술로 페이커를 촬영, 실감나고 다채로운 모션을 가진 AR기반 '디지털 페이커'를 구현했다.
디지털 페이커는 단순한 모션 외에도 페이커가 활약 중인 롤(LoL)게임 배경과 AR캐릭터를 합성해 게임 속 장면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팬사인회에서의 이벤트와 응원가 등 팬들과 소통하는 다양한 모습 등을 담았다.
팬들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디지털 페이커를 소환해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고 마치 함께 생활하는 것과 같은 친밀한 경험을 하게 될 전망이다. 또 디지털 페이커와 함께하는 순간을 사진∙동영상으로 촬영해 개인 SNS 계정에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페이커는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광고, 이벤트 등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아이돌, 게이머, 스포츠 스타 등이 혼합현실을 통해 팬들과 간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 휴먼 콘텐츠는 팬들이 좋아하는 스타 또는 셀럽의 다양한 모습을 AR콘텐츠로 구현해 팬들이 이를 소장하며 언제 어디서든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스타와 팬의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디지털 페이커를 비롯해 앞으로 다양한 스타와 셀럽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 콘텐츠를 확대할 계획이다.
디지털 페이커 출시와 함께 SKT는 점프 AR을 미국 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론칭했다. 앞으로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도 SKT의 점프AR 앱을 통해 한국의 혼합현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SKT는 '점프 버추얼 밋업' 앱을 추가 론칭하고 타 글로벌 앱마켓에도 점프 서비스 출시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진수 SK텔레콤 MR서비스CO(컴퍼니)장은 "디지털 휴먼은 앞으로 엔터테인먼트·광고·컨시어지 등 다양한 산업의 핵심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며 "디지털 페이커’를 시작으로 SKT의 점프 서비스를 글로벌 서비스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