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선공급 후계약 시스템을 질타하며 제작 활성화 제도가 필요하다고 적극 강조했다.
우 의원은 20일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 국정감사에서 "선공급 후계약 시스템은 말도 안되는 것"이라며 "이 경우 중소PP들이 불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료방송 활성화를 위해선 플랫폼 사업자 중심이 아닌 제작사가 주가돼야한다고 언급했다. 최근 높은 흥행을 거두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을 예로 들었다.
우 의원은 "넷플릭스가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은 오징어게임을 만든 제작사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넷플릭스가 잘한건 편당 28억원의 제작비를 제공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방송국 드라마 제작비의 평균 단가는 1억원"이라며 "28배의 돈을 쏟았기에 좋은 제품이 나올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우 의원은 제작을 활성화하는 제도를 만들지 않고 플랫폼 중심으로 봐서는 오징어게임과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제작사를 중심으로 한 진흥정책을 펴지 않는 한 국내 플랫폼에서는 이 같은 콘텐츠를 만들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프로그램 대가 산정 문제에 있어서도 어떻게 하면 제작 쪽에 더 많은 페이를 줄 것이냐 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지 않으면 어렵다"고 말했다.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이에 대해 동의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