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가장 큰 불안요인은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난이었다. 코로나19의 여파를 딛고, 회복 기미를 보였지만 생산이 수요를 따르지 못한 이례적 상황이다. 이슈는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 공급이 수요보다 20~40% 적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 이로 인한 출고 적체, 중고차 시장 활성화가 예상된다. [편집자주]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지난 24일 밝힌 전망 자료에 따르면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난은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자료에는 2022년 기준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은 계약 물량이 생산능력의 20~30%를 초과한 상태이며, 현재 이미 2023년 주문을 접수중이다. 주문 후 배송까지 걸리는 시간은 23.3주(2021년 11월 기준)에 달한다.
국내의 경우 1차 이하 협력사와 거래하는 반도체 대리점들은 현재 1년 6개월 이후 인도 물량을 주문 받는 등 심각한 수급불균형을 겪고 있다. 특히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차량용 반도체가 3~4배 많이 필요한 만큼 친환경차 전환은 반도체 수급난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현대차, 기아, 한국지엠, 쌍용차, 르노삼성 등 국내 제조사들은 전반적인 조달계획, 생산 모델 합리화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장기화되는 출고 적체와 이로 인한 중고차 시장 활성화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EV6, 스포티지, 투싼, K8 등 볼륨 모델들의 대기기간이 최소 6개월~최대 1년에 이르는 등 출고 적체가 심각하다. 신차 출고 적체로 소비자들이 중고차로 눈길을 돌리고 있어 내년에는 중고차 가격이 신차 가격을 웃도는 가격역전 가능성이 나온다.

전기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고용 불안과 인원 감축이 노동계의 현안이 됐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전기차로의 전환이 이뤄질 경우 노동자 20~40%는 자리를 잃는 상황. 이에 대화와 타협에 무게를 뒀던 현대차, 기아, 한국지엠 등 3사 노동자들은 새 집행부로 모두 강성 성향의 위원장을 선택했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올해 선거를 진행한 3사 집행부의 공통적인 주장은 '고용안정'과 '정년연장'이다. 현대차·기아 노조에서는 '완전 월급제' 카드도 꺼냈다. 강한 노조를 주장하는 만큼 곳곳에서 사측과의 파열음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대차 새 노조위원장인 안현호 당선자는 금속연대 출신이다. 1998년 정리해고 투쟁 당시 현대정공노조 위원장으로 현대차 노조와 연대 총파업을 이끌었다. 2007년에는 현대차 성과급 관련 시무식 난동 사건으로 구속된 바 있다.
안 후보의 공약은 △상여금 전액 통상임금 적용 △식사 시간(1시간) 유급화 △정년 연장 △일반직 및 여성 조합원 처우 개선 △4차 산업혁명 고용 대책 마련 등이다.
기아 노조 역시 강성으로 분류되는 홍진성 후보를 뽑았다. 홍 후보 역시 △정년연장 △완전월급제 △차량 온라인 판매 금지 △성과급 및 상여금·휴가비 인상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한국지엠 노조 투표에서도 '강성' 흐름이 이어졌다. 지난 8일 선거에서 당선된 김준오 후보의 주요 공약은 △2026년 이후 생산물량 배정 △글로벌 신차 생산 △부평2공장 1교대 유지 및 전기차 유치 △엔진생산 전기차 생산지원시설 구축 △2029년 이후 창원공장 물량 배정 등이다.
3사 노조의 공통 주장은 '정년 연장'이다. 반면 전기차 생산으로의 전환을 추진중인 기업측은 20~40% 정도의 인력 조정이 필요한 상황. 생산직 인력과 사측의 격한 갈등이 예상된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는 임금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을 요구중이다. 기본급과 특근수당, 상여금을 모두 하나의 임금체계로 통합하는 방식이다. 노사 간 입장 차이가 큰 만큼 노조측이 '파업'을 불사하며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