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발생한 이후 소규모 플랫폼들의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연합
▶ 티몬·위메프(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발생한 이후 소규모 플랫폼들의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연합

티몬ㆍ위메프(티메프)의 대금 미정산 사태로 다수의 판매업체와 소비자들의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피해업체 일부만 대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금 정부가 미정산 총 금액이 1조3000억원이고 피해 업체가 약 5만개 정도 된다”면서 “실제 자금 대출 실행을 보면 2795건 전체 피해 건수의 약 5.8%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지난번에 정부가 일말의 책임을 면할 수 없기 때문에 판매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무이자(대출)지원을 하라고 했다"며 "소상공인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변경금리는 2.5%로 기존 금리보다 낮지만 이게 최선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피해자 대출 금리를 인하했다고 하지만 신용보증기금과 기업은행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3.3~4.4%에 보증료는 0.5%로 총 3.8~4.9%에 이른다"며 "이는 시중 6대 은행사의 가계대출 평균금리인 3.66~4.33%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모든 피해업체들을 구제할 만큼 긴급 자금이나 신보위 기금 예산이 다 쓰여지지 않고 있다"면서도 "1억원 이상 피해자에 대해 가능한한 피해 구제를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50% 정도는 보전을 받으셨다는 통계가 나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오 장관은 "티메프 사태에서 100만원 이하 피해자가 85%~90% 정도"라며 "그분들께서는 긴급지원자금을 신청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면서 "1억원 이상 피해자들은 2% 정도이나 50% 이상이 (긴급자금을) 신청한다"고 설명했다.

정진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4월 판로지원사업 계약 이행 시 티메프가 서울보증보험 가입 거절당한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도 소상공인 판로지원플랫폼 선정에서 티몬과 위메프는 모두 고득점 받았다"며 "선정 기준 재무관련 기준이 지나치게 낮아서 가능했는데 이 기준을 손봐야 한다"고 요구했다. 

오 장관은 "티메프 사태에 대해 정부는 누구보다 안타깝게 생각하고 피해구제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필요한 조치 더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