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공사가 23일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을 골자로 한 전기요금 조정방안을 발표하자 경제계는 "반도체·인공지능(AI) 등 국내 첨단 산업 발전을 막고,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저해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등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에서 산업용 전기요금이 인상돼 기업 경쟁력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이해한다"면서도 "제조 원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산업용 전기요금만 연속해서 인상하는 것은 성장의 원천인 기업 활동에 부담을 주고 산업 경쟁력을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상 요인은 반영하되 산업계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전기 소비자들이 비용을 함께 분담하고 에너지 효율화에 적극 동참하게 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향후 전기요금 조정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후속 대책도 마련되길 바란다"며 "에너지 수급 안정의 국가 경제적 중요성을 고려해 국회에서도 국가전력망확충법안, 해상풍력발전법안, 방폐장특별법안 등이 조속히 처리되도록 노력해 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도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 명의 코멘트를 내고 "국내 산업계는 고물가·환율·고금리로 이미 한계에 놓였다"며 "전기요금 차등 인상으로 경영 활동 위축이 가속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이번 전기요금 차등 인상이 한전의 부채 부담 완화, 서민 경제의 어려움 등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산업계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 사회 전반의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고 소비자에 대한 가격 신호가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원가주의에 기반한 전기요금 결정 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요금 인상'이라는 네거티브 방식이 아닌 전기를 아끼면 인센티브를 주는 포지티브 방식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전은 산업용 고객에 한정해 오는 24일부터 전력량 요금을 평균 9.7%를 인상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대용량 고객인 산업용은 10.2% 인상하고, 중소기업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산업용은 5.2% 올렸다.
- "中 중심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유지…재편에 상당 시간 소요"
- 재계 "행동주의 펀드, 기업가치 훼손 심각"
- "조세경쟁력 강화 위해 외국납부세액공제 개선 필요"
- 경제계 "여야 모두 발의한 14개 법안이라도"…입법 촉구
- 대한상의, 국회에 23개 입법과제 건의
- "산림 탄소감축 실적, 대한상의 인증센터서 거래 가능"
- 한전·기아, PBV 활용 '미래 전동화·전력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
- 내년 APEC CEO서밋 의장에 '최태원 회장'…글로벌 CEO 한 자리에
- "美 청정경쟁법주 도입 시…韓 산업계 10년간 2.7조 부담"
- "소상공인 성장지원"…한경협, 스타콘페스타 개최
- "세계는 보조금 전쟁 중"…10년 전 대비 규모 10배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