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에코백스]
[제공=에코백스]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이 최근 안전과 보안 문제로 구설에 오른 가운데, 로봇청소기 세정제에 포함된 가습기살균제 성분을 놓고 우려가 제기돼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27일 환경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로보락 전용 세정제(오모바닥클리너)에 '2-메틸-3(2H)-이소티아졸론'(MIT), '5-클로로-2-메틸-3(2H)-이소티아졸론'(CMIT)과 이와 동일계열 성분인 '1,2-벤즈아이소티아졸-3(2H)-온'(BIT)이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성분은 과거 논란이 된 가습기살균제 성분이다. 중국 에코백스 로봇청소기인 '디봇' 전용 세정제에도 BIT 성분이 들어가 있다.

세정제는 비(非)분사형 생활화학 제품으로 환경부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 고시상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로봇청소기 세정제에는 살균제 성분이 보존제 용도로 쓰여 미량만 함유된다. 

로보락 측은 세정제 성분과 관련해 "유해성과 안전성 검사를 모두 통과한 제품"이라고 했고, 에코백스 측도 "한국 기관으로부터 안정 적합서를 받은 제품만 취급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소비자들은 최근 출시된 로봇청소기 특성상 물걸레 세척 후 열풍 건조를 하기 때문에 살균제 성분이 공기 중에 퍼질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환경부는 분무기형이나 연무형 등 화학제품이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는 제품의 경우 가습기살균제 성분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이미 일부 소비자 사이에서는 세정제 사용을 꺼리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최근 중국 로봇청소기는 해킹 문제로 화두에 올랐다.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에코백스의 '디봇 X2s' 모델을 사용하는 소비자 사이에서 해킹 피해가 접수되고 있다.

앞서 세계 최대 컴퓨터 보안 콘퍼런스이자 해킹 대회인 '데프콘'(DEFCON)에서는 에코백스 로봇청소기가 해킹에 취약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에코백스 측은 "해커가 X2를 해킹하기 위해서는 소유자의 협조 아래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일반적 가정에서는 매우 일어나기 힘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