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8일로 예고됐던 티몬의 영업 정상화가 소리 소문 없이 미뤄지고 있다.
당초 티몬의 영업 재개는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위한 발판으로 인식된 만큼 티몬의 매각 계획에도 차질이 생긴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30일 EBN 취재를 종합하면 티몬의 인가 전 인수합병 가능성이 더 불투명해졌다. 10월30일 이전을 목표로 했던 영업 재개가 여전히 이뤄지지 않으면서다.
실제 플랫폼은 여전히 결제 중단 상태다. 티몬 홈페이지에서 상품 결제를 누르면 '시스템 점검으로 주문/결제 진행이 어렵다'는 안내 문구가 뜬다.
앞서 티몬은 지난 28일을 영업 재개 시점으로 정하고 고강도 조직 개편과 판매자 모집을 단행한 바 있다.
이달 초에는 제3의 금융기관에 결제 대금을 보관하는 에스크로 기반의 정산시스템을 도입했고 기술/개발조직을 구축해 독립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는 게 티몬 측의 설명이다.
당시 류광진 티몬 대표는 "관리인을 지원해 회생절차 및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업무를 빠르게 수행하고, M&A에도 속도를 내 법원이 회생계획을 인가하기 전 인수합병을 추진한다는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외부 요건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순부터 티몬 직원 200여명이 출근하기 시작해 플랫폼 재가동을 위한 판매자와 카드사 모집에 집중하고 있지만 해결하지 못한 모양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 1곳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가 돌연 철회했다.
안전한 에스크로 방식에 수수료 할인, 광고비 없이 메인 화면에 노출하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지만 판매자들은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티몬에 기존 판매자는 재입점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티몬의 영업 재개는 지난 7월 미정산 사태 해결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기존 판매 금액 미정산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판매자들에게 재입점을 권유하고 있는 것인데 누가 들어가겠냐"고 반문했다.
영업 재개가 미뤄지면서 티몬은 다급해진 입장이다. 지난달 10일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 절차 개시 결정을 받은 티몬은 오는 12월27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인가 전 M&A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회생 이전에 매각을 성사시켜야 하는데 계속기업가치와 청산가치를 판단하는 조사보고서를 제출하는 시점이 11월29일인 만큼 사실상 티몬에게 남은 매각 기간은 한 달 여도 남지 않은 셈이다.
카드사와 판매자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매각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다.
티몬이 지난달 공시한 '2023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티몬이 영업손실은 직전년 대비 63% 증가한 2488억원에 달한다.
자금 상황도 심각하다. 지난해 말 기준 부채는 9936억원이며 이 중 미지급금에 해당하는 매입채무 및 기타 채무는 8752억원으로 90%에 달하는 수준이다. 자본총계는 -8832억원으로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다.
한편 티몬은 다음 달 8일까지 인수희망자로부터 인수의향서(LOI)를 접수 받을 예정이다. 공고는 오는 12월16일에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