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본사 전경. [제공=고려아연]
고려아연 본사 전경. [제공=고려아연]

2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해 금융당국이 조사에 나선 고려아연이 "유증은 공개매수 종료 이후 검토했다"고 1일 밝혔다. 

고려아연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지난달 30일 공시한 일반공모 유상증자에 대해 "추진 과정에서 일부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 같이 밝혔다. 

고려아연은 먼저 "일반공모 증자를 검토한 것은 지난달 23일 자기주식 공개매수 종료 이후"라고 해명했다. 

고려아연은 공개매수 종료 이후 주가가 공개매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으나, 지난달 22일부터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유동 물량이 부족해져 시장 불안정성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거래량 감소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여기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 편출 가능성까지 높아지는 등 부작용이 커져 긴급하게 유상증자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려아연은 지난 30일 공시한 증권신고서에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했다고 기재해 의혹을 키운 데 대해서도 해명했다.

고려아연은 "저금리의 부채조달을 위해 증권사와 한 회사채·기업어음(CP) 등 부채조달 방안을 검토한 것이 잘못 표기된 것"이라며 "당사는 자료가 공개된 상장법인이라 회사채 발행 등 부채조달 실사 결과를 유상증자 실사에도 거의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때문에 증권사가 기존의 실사 결과를 사후적으로 증자에 활용하면서 14일부터 유상증자 실사를 한 것으로 신고서에 착오 기재를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려아연은 "투자자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한 점에 대해 양해 말씀 드린다"며 "실제 사실관계를 당국과 시장에 정확하고 성실하게 설명하고 논란을 적극 해소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