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방부가 1만 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견됐으며, 그 중 상당수가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이동했다고 5일 공식 발표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최근 평가와 일치하는 것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의 개입이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1만여 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지금 가 있다"며 "그중에서 상당수가 쿠르스크를 포함한 전선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은 또한 한국군과 관련 정보기관이 우크라이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표는 미국 국무부의 최근 평가와 맥을 같이한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현재 1만명에 달하는 북한군이 쿠르스크로 이동했고, 수일 내에 전투에 들어갈 수 있다고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주 보고된 8000명에서 2000명 증가한 수치다.

밀러 대변인은 북한군의 참전 가능성에 대해 "단정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으나 말했듯이 우리는 그들이 우크라이나군을 상대로 전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그렇게 된다면 그들은 합법적인 군사적 목표물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쿠르스크에 주둔 중인 북한군은 현재 보병 작전 등을 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미 북한군이 실제 전투에 참여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위반 소지가 있어, 향후 국제사회의 대응이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