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희원 셰프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AI 가전을 활용해 직접 요리하는 모습. [출처=이남석 EBN 기자]
임희원 셰프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AI 가전을 활용해 직접 요리하는 모습. [출처=이남석 EBN 기자]

"빅스비, 칼로리는 낮고 영양소는 높은 한식이 당기는데 뭐가 좋을까?"

"오늘은 냉장고에 있는 버섯과 가지를 활용한 버섯영양밥 레시피를 추천해요."

요리가 서툰 직장인 김철수 씨(가명)는 이제 먹고 싶은 음식의 레시피를 '냉장고'에서 얻는다. 최근 구매한 냉장고가 인공지능(AI) 성능을 바탕으로 맞춤형 레시피를 제공하면서 집에서 셰프급 요리를  심심찮게 즐긴다. AI 냉장고가 식재료 보관 기간을 시시각각 인식하면서 그동안 아깝게 버려온 식재료도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내일 저녁 AI 냉장고가 추천한 이탈리아 남부식 요리를 맛볼 생각에 철수 씨 입가에 행복한 미소가 절로 번진다.

위 사례는 삼성전자 AI 가전으로 채워진 주방의 한 모습이다. 사람이 AI 냉장고와 스스럼없이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다채로운 글로벌 음식을 손 쉽게 요리하는 상상이 현실이 됐다.

삼성전자는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를 열고 AI에 기반한 스마트한 주방 경험을 현실로 재현했다.

요리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 요리 계급 전쟁'에 출연한 임희원 셰프가 참석해 냉장고와 인덕션, 오븐을 스마트싱스이색 요리 4종을 직접 선보였다.

임 셰프가 가지각색의 요리를 조리하는 동안 각 제품이 원팀이 되어 움직였다. AI 성능을 바탕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조리 시간은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일조했다.

요리하기에 앞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의 자동 식재료 인식 기능인 'AI 비전 인사이드'를 활용하는 장면도 공개했다. 임 셰프가 쿠킹쇼를 위해 직접 가져온 재료들을  냉장고에 넣자 자동 푸드 리스트에 식재료의 종류와 입고일이 등록됐다. 

이후 푸드 리스트에서 미리 보관 중이던 해산물을 선택한 뒤 이날 새롭게 추가한 파프리카, 토마토 등의 식재료를 선택해 레시피를 추천받았다. 

요리 과정에서 비스포크 AI 인덕션과 비스포크 큐커 오븐의 활약도 눈부셨다. 

임 셰프는 냉장고 터치스크린에 뜬 단계별 레시피를 참고해 '비스포크 큐커 오븐'으로 조리값을 전송한 뒤 '해물 토마토 김치' 조리를 시작했다.

오븐은 냉장고가 추천한 레시피에 맞춰 최적화된 온도와 시간을 스스로 설정했다. 조리 중간에 내부를 확인하거나 시간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 동시에 여러 음식을 조리할 수 있었다.

'비스포크 AI 김치플러스'에 새로 장착된 '냄새 케어 김치통'을 활용하는 모습도 인상 깊었다. 냄새 케어 김치통이 김치 숙성에 맞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가스 밸브와 가스 흡수 필터를 통해 차단했다. 이날 시연에서 김치냉장고를 여닫을 때 발생하는 김치 특유의 시큼한 냄새를 맡아보기 어려웠다. 

외에도 임 셰프는 비스포크 AI 가전을 활용해 버섯영양밥, 항정살 구이와 묵은지 살사, 비트사시미 레시피 등을 직접 요리했다.

임 셰프는 "5개 요리를 동시에 하면 땀이 많이 나야 하는데 지금은 보송한 상태"라며 "비스포크 AI 가전을 활용해 요리를 하니 확실히 편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러면서 "인터넷을 보니 시청자들이 레시피를 몰라서 자기 방식대로 따라 하던데 삼성푸드로 쉽게 요리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임희원 셰프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AI 가전을 활용해 직접 요리한 버섯영양밥 [출처=이남석 EBN 기자]
임희원 셰프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AI 가전을 활용해 직접 요리한 버섯영양밥 [출처=이남석 EBN 기자]

이날 삼성전자는 내년 생활가전에 개별 목소리를 인식하는 보이스 아이디(ID) 기능을 탑재하겠단 계획도 밝혔다. 이를 통해 늘어나는 AI 가전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단 목표다.

그동안 일각에서는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는 보이스 성능 '빅스비'에 대해 "개별 목소리를 구분하지 못해 혼선이 잦다"는 지적이 줄곧 제기됐다.

하지만 내년 보이스 ID가 적용되면 이용자들은 보이스 ID를 통해 사생활 침해 우려는 줄이고 개인 일정, 관심사, 건강 상태 등을 반영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정주 삼성전자 생활가전(DA) 사업부 상무는 "가전이라는 것은 가정에서 여러 명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다 보니 과거에는 개인화까지 가기에 필요할까라는 생각을 했다"며 "이제는 소비자들이 (가전의 개인화까지) 기대하는 것을 잘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가전의 개인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는 자체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를 통해 사전에 방지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녹스를 적용한 '비스포크 AI 스팀'의 경우 글로벌 인증기관 'UL 솔루션즈'가 실시하는 사물인터넷(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을 획득했다.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 등급은 △악성 소프트웨어 변조 탐지 △불법 접근 시도 방지 △사용자 데이터 익명화 등의 항목에서 까다로운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이 상무는 "개인정보까지 가져간다고 하면 보안 문제는 괜찮은가라는 질문이 있을 것"이라며 "삼성에서는 녹스라는 보안 기술이 있어 각 개제품끼리 연결해서 소통하는 과정도 철저하게 보안이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기능 고도화를 목표로 AI 가전에 삼성의 애플리케이션 브로세서(AP) 브랜드인 엑시노스를 비롯한 외부의 AI 칩 도입도 검토하겠단 방침을 밝혔다.

이 상무는 "소비자에게 필요한 AI 경험을 주기 위해 필요한 칩을 개발하고 있다"며 "내·외부적으로 다 알아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삼성 주방 가전은 스마트싱스 위에서 하나로 연결되고, 알아서 맞춰주는 AI 키친 솔루션으로 진화했다"며 "앞으로도 AI 비전, AI 보이스,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통해 세심하게 맞춰주는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주 삼성전자 생활가전(DA) 사업부 상무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발표하는 모습 [출처=이남석 EBN 기자]
이정주 삼성전자 생활가전(DA) 사업부 상무가 6일 서울 영등포구 봄블룸봄온더테이블에서 열린 '삼성 비스포크 AI 키친' 쿠킹쇼에서 발표하는 모습 [출처=이남석 EBN 기자]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