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
[제공=픽사베이]

20대 청년들 사이에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달라진 현상에 대한 정책 변화는 더디게 진행되며 ‘정책 사각지대’가 생겨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에 따르면 올해 20~29세 중 42.8%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낳을 수 있다’는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이는 2014년 30.3%에서 10년 새 12.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이 5.7%에서 14.2%로 3배 가까이 늘어,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가 뚜렷함을 보여줬다.

성별로는 20대 남성의 43.1%, 여성의 42.4%가 결혼하지 않고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답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여성(15.9%)이 남성(12.6%)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실제 출산 통계에도 반영되고 있다. 지난해 혼인 외 출생아는 1만900명으로, 전년보다 1100명 증가했다. 전체 출생아 중 비혼 출생아의 비중은 4.7%로,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결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대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비율은 2014년 51.2%에서 2024년 39.7%로 줄었다.

그러나 비혼 출산에 대한 인식과 실제 비율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려는 정책적 움직임은 여전히 더딘 상태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부분의 출산·양육 지원 정책이 ‘결혼한 부부’를 중심으로 설계 돼 있어, 비혼 출산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상대적 차별을 받거나 ‘정책 사각지대’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