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롯데케미칼]
[제공=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전남 여수공장 일부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하며 경영 위기 극복에 나서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3일 여수공장이 국가산업단지 내 1~3공장 중 2공장의 가동을 멈추는 절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생산시설을 비우고 질소를 충전하는 이른바 박스업(Box-Up)으로 가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설비를 보호하는 조처다.

2공장은 올해 상반기 페트(PET) 생산라인에 이어 이번에 에틸렌글리콜(EG)과 산화에틸렌유도체(EOA) 생산라인까지 중단됐다. 공장 측은 재가동 여부나 매각 방침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2공장에서 근무하던 70여 명의 직원이 다른 부서로 전환 배치, 재가동 가능성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가동 중단의 배경에는 수익성 악화가 직접적 영향을 줬다. 가동을 지속할수록 손해가 커지는 상황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기에만 4136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으며, 연간 누적 영업 손실은 6600억원에 달한다.

이와 함께 롯데케미칼은 저수익 자산 매각과 원가 절감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경영난 타개에 집중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기초화학 생산부문의 원가절감, 수익성 확보를 위한 공장단위의 운영 효율화(Operation Excellence)를 지속 진행 중이다. 

롯데케미칼 측은 "크래커 가동률 조정에 따라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다운스트림 일부 라인의 가동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며 최적의 가동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