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나이스신용평가-S&P글로벌신용평가 공동 세미나에서 권재민 S&P글로벌신용평가 한국대표(왼쪽부터), 루이 커쉬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기태훈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킴엥 탄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최우석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앤디 리우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김대현 S&P글로벌신용평가 상무가 미디어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EBN
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나이스신용평가-S&P글로벌신용평가 공동 세미나에서 권재민 S&P글로벌신용평가 한국대표(왼쪽부터), 루이 커쉬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기태훈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킴엥 탄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최우석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앤디 리우 S&P글로벌신용평가 전무,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상무, 김대현 S&P글로벌신용평가 상무가 미디어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EBN

국내외 신용평가사들이 간밤 벌어진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비롯해 금융시장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비상계엄이라는 리스크가 빠른 시간 내 해소됐다는 이유에서다.

4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나이스신용평가-S&P글로벌신용평가 공동 세미나에서 S&P글로벌신용평가의 킴엥 탄 전무는 “어제 저녁 비상계엄 선포가 있었지만 금방 정리가 됐는데 이 점에서 한국의 제도적 기반이 탄탄해 정상적 상황으로 돌이킬 수 있었다”며 “한국의 국가등급이 AA 등급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전혀 영향이 없는 것은 아니고 여러 국제 투자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일시적일지 장기화될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부정적인 영향 규모가 국가등급을 바꿀 정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앤디 리우 전무 역시 “비상계엄이라는 부정적인 이벤트가 빠르게 해소됐기 때문에 기업들의 투자 계획, 캐시플로우, 주주환원 등에 관련한 것은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6~12개월 정도 과거처럼 투자를 해도 되는 환경인지는 이전보다 더 면밀하게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한국의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진단이 이어졌다.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에 충격이 있겠지만 경제 펀더멘털을 고려했을 때 점차 회복될 것이라는 의견이 이어졌다.

기태훈 나이스신용평가 상무는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고 특히 해외쪽에 대외 신인도 이런 측면에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여진다”면서도 “기업, 금융 등 경제 펀더멘털을 봤을 때 기본적으로 양호한 수준이기 때문에 정치적 불안정 영향을 회복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상무도 “금융시장이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겠지만 2016~2017년 탄핵 정국, 조기 대선 이벤트 등이 있던 상황을 떠올려 보면 힌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며 “당시 시장의 출렁거림이 있었지만 주가지수나 금리 등이 약간의 시차를 두고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모습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어느 정도 튼튼하고 그 부분에 대해 국내외 투자자들이 신뢰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여러가지 부정적인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펀더멘털을 더 중시하기 때문에 너무 크게 휘둘릴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이날 오전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10조원 규모 증시안정펀드,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등을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해 시장 안정화에 총력을 다 할 것을 밝힌 바 있다.

김대현 S&P글로벌신용평가 상무는 “금융당국의 조치가 충분한지 여부를 현재 판단하기 어렵지만 중요한 부분은 한국 정부가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라며 “때로는 다른 국가 대비 좀 과도한 개입을 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이런 위기 시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빠르게 대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이런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결국 투자자의 심리나 마켓의 센티멘트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절대적인 투입 규모보다 금융당국에서 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종요하고 이번 대응도 시장을 진정시키는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