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1년 전보다 0.8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 확률은 암, 폐렴, 심장질환 순으로 이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남자 2.2년, 여자 2.8년 각각 더 높았다.
통계청은 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 생명표'를 발표했다.
생명표는 현재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각 연령대의 사람들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추정한 통계다.
지난해 출생아(0세)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1년 전보다 0.8년 증가했다.
기대 수명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지속 증가하다가 2022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처음 감소(-0.9년)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80.6년, 여자가 86.4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7년, 0.8년 증가했다.
남녀 간의 기대수명 격차는 5.9년으로 전년보다 0.1년 증가했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한국 남자의 기대 수명은 남자는 2.2년, 여자는 2.8년 더 높았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5.9년)는 OECD 평균(5.3년)보다 0.6년 높았다.
기대 여명은 남녀 전 연령층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60세 남자는 23.4년, 여자는 28.2년 더 생존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1년 전보다 각각 0.7년, 0.8년 증가한 것이다.
40세 남자는 41.6년, 여자는 47.2년 더 살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 당정대, '계엄 사태' 회동…내각 총사퇴 등 논의 예상
- CJ대한통운, ‘주7일 배송’ 한달 앞두고 노조와 교섭 차질
- 충격에 빠진 완성차 업계, 이미지 타격 '불가피' 해법은
- 한국의 비상계엄에…아시아 증시 약세, 대만은 상승
- [EBN 오늘(4일) 이슈 종합]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 비상계엄 경제계 후폭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이복현 금감원장 “정상화까지 24시간 비상대응체계”
- [현장] 국내외 신평사 “비상계엄 영향 제한적…단기 충격에도 점차 회복”
- 비상계엄 후폭풍…경제·금융당국·지자체 일정 줄줄이 취소
- 비상계엄 포고령 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계엄령에도 쿠팡은 달렸다…유통·물류산업 정상 운영
- 토스뱅크·카카오뱅크, 환전·해외송금 한때 중단…환율 급등에 소비자보호
-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인데...위기 속 혼란 가중”
- 5대 금융지주·은행, 새벽부터 비상 회의…시장 대응 강화 주문
- "여의도 상공에 군 헬기 비행"…계엄 전과정, 전국민이 찍어 영상 공유
- 올해 출생아 수 9년만에 반등 유력…10월 누계 13.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