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통계청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이 1년 전보다 0.8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 원인 확률은 암, 폐렴, 심장질환 순으로 이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기대 수명은 남자 2.2년, 여자 2.8년 각각 더 높았다.

통계청은 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 생명표'를 발표했다.

생명표는 현재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각 연령대의 사람들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추정한 통계다.

지난해 출생아(0세)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1년 전보다 0.8년 증가했다.

기대 수명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지속 증가하다가 2022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처음 감소(-0.9년)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80.6년, 여자가 86.4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0.7년, 0.8년 증가했다.

남녀 간의 기대수명 격차는 5.9년으로 전년보다 0.1년 증가했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한국 남자의 기대 수명은 남자는 2.2년, 여자는 2.8년 더 높았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5.9년)는 OECD 평균(5.3년)보다 0.6년 높았다.

기대 여명은 남녀 전 연령층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60세 남자는 23.4년, 여자는 28.2년 더 생존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1년 전보다 각각 0.7년, 0.8년 증가한 것이다.

40세 남자는 41.6년, 여자는 47.2년 더 살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