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3일 저녁 서울역TV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제공=연합]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3일 저녁 서울역TV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제공=연합]

정부가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발표한 제1호 포고령으로 인해 의료계가 공분하고 있다. 특히 파업 중인 전공의 등 의료인을 '처단'하겠다는 문구가 논란이 됐는데, 의료계는 정부가 의사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드러낸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이후 계엄사령부는 같은 날 밤 제1호 포고령을 발동했다.

이 포고령에서는 ‘전공의를 비롯해 파업 중이거나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해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시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이외에도 포고령은 국회 및 지방의회의 정치활동 금지, 언론 통제 등 총 6개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의사라는 특정 직역만 겨냥한 점에서 의료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의정 갈등이 10개월째 접어드는 상황이지만, 의료 현장은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파업·이탈 전공의 등 의료인에 대한 조치가 불필요한 상황에서 계엄을 통해 특별한 이유 없이 의료인 복귀를 강조한 것은 문제가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이다.

의료 커뮤니티에서는 정부를 향한 비판적인 글들이 쏟아지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향후 의정 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국민 건강과 미래 젊은 의사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SNS를 통해 이번 포고령의 작성자를 공개할 것을 요구하며 불만을 표했다. 또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에서도 이번 조치를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