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4978_656680_4716.png)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라면·생수 등 비상식량을 사재기 하려는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업계에 따르면 A편의점의 경우 3일 오후 11시부터 4일 0시까지 통조림 매출이 전날 대비 75.9% 신장했다. 반과 생수, 라면 매출은 각 38.2%, 37.4%, 28.1% 올랐다. 건전지(25.7%)와 식재료(23.8%), 주류(15.2%), 시리얼(14.1%), 빵(12.5%) 매출도 늘었다.
B편의점 역시 비상식량 등의 매출이 전주 동요일 동시간대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신장률은 통조림 337.3%, 봉지면 253.8%, 생수 141.0%, 즉석밥 128.6%, 건전지 40.6%, 안전상비의약품 39.5% 등이다.
C편의점은 3일 오후 11시부터 자정까지 생수 매출이 직전일 대비 40% 오르고 햇반 등 가공미반 70%, 라면 50%, 주류 30% 등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 멀티탭 등 전기용품과 여행용품 매출도 각 20%씩 증가했다.
e커머스 업계에서도 사재기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생수를 미리 챙겨야 한다는 게시글이 올라면서도 사재기 현상을 부추겼다. 쿠팡에서도 라면, 생수 등 생필품 주문량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G마켓에서도 생수가 베스트 상품 13위에 오르기도 했다. 다만 이날 오전 계엄령이 해제되면서 사재기 현상은 진정됐다.
관련기사
-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인데...위기 속 혼란 가중”
- 비상계엄에 통일부 장·차관 외부일정 취소…간부회의 개최
- 숨 가빴던 간밤…국내외 금융시장 '일시 쇼크'
- [포토] "계엄령에 총비상"…정부청사 들어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 언론현업단체들 "비상계엄 명백한 위헌, 대통령 즉각 하야하라"
- 계엄령에도 쿠팡은 달렸다…유통·물류산업 정상 운영
- 비상계엄 포고령 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비상계엄 후폭풍…경제·금융당국·지자체 일정 줄줄이 취소
- 45년만의 계엄 선포…전국서 '윤대통령 퇴진' 외쳐
- [속보] 민주 "尹대통령·국방·행안장관 내란죄 고발 및 탄핵 추진"
- [EBN 오늘(4일) 이슈 종합]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 비상계엄 경제계 후폭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한국의 비상계엄에…아시아 증시 약세, 대만은 상승
- '트럼프 효과' 달러 강세…11월 외환보유액 두달 연속 감소
- 당정대, '계엄 사태' 회동…내각 총사퇴 등 논의 예상
- [속보] 野6당, 오후 2시40분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
- 계엄령 여파에 연예계도 대혼란…인터뷰 취소·콘서트는 그대로
- [포토] 광주·전남 지방의회 "윤 대통령 하야해야"
- 野6당,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6∼7일 표결 계획
- [포토] 계엄령 후폭풍…금융당국, 금융상황 점검회의 개최
- 또 손바뀐 제주맥주…경영정상화는 언제쯤
- 니혼슈코리아, 사와노모토 시리즈 편의점 판매 시작
- [e커머스 & Now] 11번가 ‘패밀리플러스’…가입자 24만명 돌파 등
- 줄줄이 희망퇴직…'수익성 악화' e커머스, 체질개선 고삐 죈다
- BGF 17% vs GS 0.5%…‘편의점 양강’ 상표권료 인상 온도차
- CJ제일제당 '햇반 솥반' 누적 판매 3000만 개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