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18 역사 현장 등 주요 도시마다 시국대회·기자회견[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4993_656694_1944.jpg)
45년 만의 비상계엄 선포가 국회의 요구로 6시간 만에 해제된 4일 전국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1980년 5월 비상계엄 당시 5·18 민주화운동을 경험했던 광주에서는 이날 오전 광주시민 비상시국대회가 열렸다.
광주의 각계 기관·단체 대표는 5·18 역사 현장인 옛 전남도청 광장에 다시 모여 "헌정을 유린한 '내란 수괴' 윤석열을 즉각 체포, 구속해야 한다"고 외쳤다.
이날 강기정 광주시장은 "5월의 아픔을 경험하고 배웠던 우리는 이 상황을 용납할 수 없다"며 "계엄의 밤은 지나고 심판과 책임의 시간이 다가왔다. 퇴진의 그날까지 함께 싸워나가겠다"고 언급했다.
전남에서도 재야단체 중심으로 비상계엄을 규탄하는 야간 촛불문화제가 곳곳에서 열린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각 대구와 경북에서는 시민단체와 노동계를 중심으로 동대구역 광장에서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비현실적이고 비상식적인 계엄 선포에 모두가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국가와 사회를 소요시키고 마비를 일으킨 윤석열 정권을 퇴진시키고 민주주의를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계엄령 [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4993_656695_209.jpg)
부산에서는 민주노총 부산본부의 결의대회, 비상회의가 줄줄이 열린다.
울산과 경남에서는 시민사회단체, 노동계의 긴급 집회가 잇달아 개최됐다.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의 시민사회, 노동단체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예정된 집회에 합류하기로 했다.
대전과 충남, 전북, 제주에서도 계엄 선포를 규탄하고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각계의 결의대회 및 기자회견이 잇달았다.
전국 주요 도시에서는 이날 늦은 오후부터 윤 대통령 퇴진 요구 촛불집회가 전개될 전망이다.
- 비상계엄 후폭풍…경제·금융당국·지자체 일정 줄줄이 취소
- 비상계엄 포고령 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계엄령에도 쿠팡은 달렸다…유통·물류산업 정상 운영
- 토스뱅크·카카오뱅크, 환전·해외송금 한때 중단…환율 급등에 소비자보호
- 역대급 역프리미엄…계엄빔에 가상자산 ‘아찔 롤러코스트’
- 비상 계엄령에…편의점·e커머스 ‘사재기’
-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인데...위기 속 혼란 가중”
- "여의도 상공에 군 헬기 비행"…계엄 전과정, 전국민이 찍어 영상 공유
- 비상계엄에 통일부 장·차관 외부일정 취소…간부회의 개최
- 주요 기업 긴급 사장단 회의… "비상경영상황"
- 숨 가빴던 간밤…국내외 금융시장 '일시 쇼크'
- [특징주] ‘비상계엄 사태’에 이재명 테마주 줄줄이 상한가
- [포토] "계엄령에 총비상"…정부청사 들어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 안덕근 산업, 대외일정 모두 취소…비상계엄 영향 점검 주력
- 치솟던 원달러 환율, 비상계엄 해제 후 안정세…1400원 초반
- 민변, 헌법소원 청구…윤대통령의 '비상계엄' 헌재 판단 구한다
- [EBN 오늘(4일) 이슈 종합]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 비상계엄 경제계 후폭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한국의 비상계엄에…아시아 증시 약세, 대만은 상승
- 충격에 빠진 완성차 업계, 이미지 타격 '불가피' 해법은
- '트럼프 효과' 달러 강세…11월 외환보유액 두달 연속 감소
- 당정대, '계엄 사태' 회동…내각 총사퇴 등 논의 예상
- 계엄령 여파에 연예계도 대혼란…인터뷰 취소·콘서트는 그대로
- [포토] 광주·전남 지방의회 "윤 대통령 하야해야"
- 중소기업 94% "'상생형 삼성 스마트공장' 만족도 높아"
- 野6당, 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제출…6∼7일 표결 계획
- [포토] 계엄령 후폭풍…금융당국, 금융상황 점검회의 개최
- [속보] 한국노총 "尹정권 퇴진해야…사회적 대화 전면 중단"
- 최상목 "실물경제 24시간 모니터링"…4일 사의 표명
- 계엄사태에 노동계 강력 비판…파업·대화거부 등 투쟁 의지
- 의대 증원에 의약학계열 지원자 급증…전년 대비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