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달러 강세 등 영향으로 3억달러 감소하는 등 두 달 연속 감소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속도가 당초 관측보다 느려질 것이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53억9만달러(약 588조4000억원)로, 10월 말(4156억9000만달러)보다 3억달러 감소했다.
지난 10월(42억8000만달러 감소) 이후 두 달 연속 감소세다.
한은 관계자는 "운용 수익이 발생하고 금융기관 외화예수금도 증가했으나 미 달러 강세에 따른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감소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미 달러 가치가 2.0%(미 달러화 지수 기준, 10월 말 103.99→11월 말 106.05) 평가 절상되면서 달러로 환산한 기타 통화 외화자산 금액 규모가 줄었다는 뜻이다.
달러가 강세에 대해 한은은 지난달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느려질 것이라는 해석이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 한국의 비상계엄에…아시아 증시 약세, 대만은 상승
- [EBN 오늘(4일) 이슈 종합]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 비상계엄 경제계 후폭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이복현 금감원장 “정상화까지 24시간 비상대응체계”
- [현장] 국내외 신평사 “비상계엄 영향 제한적…단기 충격에도 점차 회복”
- 비상계엄 후폭풍…한국은행 "비정례 RP매입 등 단기유동성 공급 확대"
- 45년만의 계엄 선포…전국서 '윤대통령 퇴진' 외쳐
- 비상계엄 후폭풍…경제·금융당국·지자체 일정 줄줄이 취소
- 비상계엄 포고령 속 ‘처단’ 표현 두고 의료계 반발 거세
- 계엄령에도 쿠팡은 달렸다…유통·물류산업 정상 운영
- 토스뱅크·카카오뱅크, 환전·해외송금 한때 중단…환율 급등에 소비자보호
- 역대급 역프리미엄…계엄빔에 가상자산 ‘아찔 롤러코스트’
- 비상 계엄령에…편의점·e커머스 ‘사재기’
- 재계 “경영상황이 비상계엄 상태인데...위기 속 혼란 가중”
- 5대 금융지주·은행, 새벽부터 비상 회의…시장 대응 강화 주문
- "여의도 상공에 군 헬기 비행"…계엄 전과정, 전국민이 찍어 영상 공유
- 비상계엄에 통일부 장·차관 외부일정 취소…간부회의 개최
- 주요 기업 긴급 사장단 회의… "비상경영상황"
- 숨 가빴던 간밤…국내외 금융시장 '일시 쇼크'
- [특징주] ‘비상계엄 사태’에 이재명 테마주 줄줄이 상한가
- [포토] "계엄령에 총비상"…정부청사 들어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