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회계제도(IFRS17) 관련 사항[금감원]](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7746_659864_5226.jpg)
금융당국이 보험업계에 그동안 검토된 새 회계제도(IFRS17) 관련 사항을 충실히 반영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보험업계는 2024년 연말 결산을 앞두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5일 'IFRS17 안정화 추진경과 및 향후 감독방향'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연말 결산으로 계도 기간이 종료되는 만큼 보험업계가 그간 검토된 사항을 결산에 충실히 반영하도록 감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당국은 IFRS17의 계리적 가정 등과 관련해 보험업계에 혼란이 잇따르자 작년 한시적으로 IFRS17 기준서상 판단·해석 차이에 대한 계도기간을 가졌다.
이후 보험개혁회의를 통해 IFRS17이 단기실적 경쟁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 개선 등 내용을 담은 보험회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또 업계 공동협의체, 질의회신연석회의·회계심의위원회 등을 통해 공시이율 예실차 회계처리, 보험계약마진(CSM) 상각률 산출기준 등에 대한 검토 결과를 살펴봤다.
금감원이 결산을 앞두고 다시 한번 엄정한 회계 처리를 강조한 것은 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업계 일각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을 이유로 회계 처리를 여유롭게 해도 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발생했다.
이에 당국도 긴장감을 갖고 감독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말 결산부터는 회계 관련 논의 사항을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며 "계도 기간 중이라도 고의로 회계가정을 비합리적으로 적용해 실적을 부풀리려고 할 경우에는 제재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험사 외부감사인과 정기적으로 간담회를 개최해 결산 감사 주요 이슈를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운영 중인 '핫라인'을 통해 보험업계로부터 결산 관련 주요 질의사항을 신속히 파악해 대응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IFRS17 기초가정의 중요성 및 최근 금융시장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보험부채 시가평가 제도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도록 보험 회계 감독·검사 강화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신년사] 김철주 생보협회장 "다가올 충격에 철저 대비·건전성 규제에 대응"
- 금융당국 "을사년 위기센서 금융의 힘 발동"…시장도 "찰떡호흡 협력" 다짐
- 보험大개혁 예고한 금감원 파격 인사…제2의 자살보험금 우려
- 탄핵정국 금융시장 정비 나선 금감원 "보험사 내부통제 강화해야"
- '퍼주는 보험' 이제 그만…보험개혁에 환자 본인 부담↑
- "보험사 최대 실적에도 자본 감소…관리 방안 필요"
- 손보사 분기 최대 실적 행진 끝날까…시장환경 하향 신호
- 근로자·산재보험 전문가 74% "산재보험 선보장 필요"
- 금융당국 "누수 막은 실손보험료 30∼50%↓·車보험료 3%↓효과"